‘천비디아’ 너무 비싸다면? 반도체ETF 신상 9종 어때요

  • 카드 발행 일시2024.05.27

머니랩

‘보고도 못 믿겠어’ ‘당신은 다 계획이 있었군요’ ‘대장의 품격’….  

인공지능(AI) 대장주 엔비디아의 실적 발표 직후 국내 증권사들이 낸 보고서 제목이다. 시장은 엔비디아의 실적에 탄복하는 모습이다. 올 상반기 주식시장을 한 문장으로 요약하자면 ‘엔비디아를 가진 자’와 ‘못 가진 자’였다. 이제라도 ‘가진 자’ 대열에 합류해 볼까 싶지만, 실적 발표 뒤 다시 무섭게 오른 ‘천비디아(주가 1000달러+엔비디아)’에 투자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다면 새로 출시된 반도체 상장지수펀드(ETF)가 대안이 될 수 있다. 기존 반도체 ETF가 반도체 전반에 투자했다면 ‘신상 ETF’의 특징은 ‘세분화’다. AI와 관련된 반도체 기업에만 적극 투자하는 ETF가 있는가 하면, 아직 덜 오른 국내 ‘전공정(pre-process)’에만 투자하는 ETF도 있다. 투자자로선 내가 원하는 핵심 테마를 고를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아진 셈이다.

다만 ETF로 투자하든, 개별 기업에 투자하든 반드시 살펴봐야 할 것은 지난주 발표된 엔비디아 실적이다. 엔비디아가 앞으로 더 오를 수 있을지를 비롯해 핵심 관심사를 전문가들에게 물었다. 국내 투자자들이 찾아보기 힘든 글로벌 투자은행(IB)들의 보고서도 요약해 담았으니 꼭 챙겨 보시길 추천한다.

사진 셔터스톡

사진 셔터스톡

이런 내용을 담았어요

📌Point1 신상 반도체 ETF 지도 그려보니
-특징은 ‘세분화’와 ‘차별화’
-글로벌 반도체 ETF 키워드 : ‘AI’
-국내 반도체 ETF 키워드 : ‘소부장’

📌Point2 쪼개서 집중하니 수익률 3배?
-신상 반도체 ETF 수익률과 변동성
-한미반도체 있다? 없다? 신상 ETF 포트폴리오

📌Point3 엔비디아 실적으로 보는 투자법
-엔비디아 계속 오를까? 가장 많이 담은 ETF는

머니랩이 그린 신상 반도체 ETF 지도 

투자의 1차 기준은 상품의 과거 수익률이다. 하지만 신상 ETF는 상장된 지 얼마 되지 않아 수익률 확인이 어렵다. 따라서 ETF가 어떤 전략을 사용하고, 그 결과 포트폴리오에 어떤 종목을 담았는지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가 있다.

김경진 기자

김경진 기자

신재민 기자

신재민 기자

머니랩이 포트폴리오에 어떤 기업(종목)들을 담았는지 ‘범위’에 따라 반도체 ETF 지도를 그려봤다. 지도에서 볼 수 있듯 ‘원조 반도체 ETF’가 산업 전반에 두루 투자한다면, 최근 6개월 안에 출시된 ETF는 특정 기업에 더 집중 투자한다.

글로벌 반도체 ETF - ‘AI’ 집중 

최근 출시된 글로벌 반도체 ETF는 주가 상승을 이끌고 있는 AI 테마에 집중한다. 일례로 키움자산운용의 ‘KOSEF 글로벌 AI 반도체’는 글로벌 반도체 기업 중 AI와 관련이 깊은 기업들만 골라 투자하는 ETF다. 반도체 설계 지식재산권(IP) 기업인 시놉시스와 케이던스, 설계 팹리스 기업인 엔비디아와 AMD, 그리고 이를 위탁생산(파운드리)하는 TSMC 등에 집중 투자한다.

반면에 AI 반도체 관련성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텍사스인스트루먼트 등은 포트폴리오에 담지 않았다. 기존 ‘TIGER 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이 30개 종목, ‘KODEX 미국반도체MV’가 26개 종목에 투자하는 것과 달리 15개 종목에만 투자하는 것도 특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