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부부에 고발장 날렸다…‘1기수 선배’ 양부남의 돌변

  • 카드 발행 일시2024.05.27

 법 인(in) 여의도, 여의도 법인(人)⑤ -한동훈 호(號) 지어준 ‘대장동 변호사’의 국회 입성

호탕하고 뱃심 있고 통 크던 검사 윤석열이 정치를 하더니 졸장부가 됐어! 원래 그런 사람이었나? 아니면 정치판이 그렇게 만든 건가? 그 똑똑하던 한동훈도 실망스럽기 그지없어. 정치는 그렇게 꽃가마 타고, 구름 타고 하면 안 되는 거야!

이런 내용들이 있어요

📍 “호탕하던 尹, 졸장부됐다!”...왜?

📍 “이렇게 영리한 놈이 있나!”...한동훈에 감탄하다

📍 양부남이 지어준 한동훈의 호(號)는?

📍 이재명, 의외로 수줍음 많다?

📍 “정권이 ‘검사 골품’, ‘검사 음서’ 제도 만들어”

사법시험은 신분 상승의 첩경이었다. 삼신할미가 맺어준 천륜에 재복(財福)이 누락돼 힘든 초년을 보내던 이무기들이 운명에의 순응을 거부하며 절박하게 거머쥔 등용문(登龍門)이었다. 그 통로를 통해 무수한 입지전(立志傳)이 쓰인 건 정한 이치다.

합격자 명단에 출신 대학을 병기했던 옛적, 지루하게 이어지는 명문대들의 이름 끝에 독야청청 ‘고졸’ 타이틀로 종지부를 찍은 노무현 전 대통령은 그 분야의 상징적 존재다.

1975년 3월 27일자 중앙일보에 실린 제 17회 사법시험 합격자들의 이름과 출신 학교. 총 60명의 합격자 중 유일한 고졸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름이 명단 맨 아래에 있다.

1975년 3월 27일자 중앙일보에 실린 제 17회 사법시험 합격자들의 이름과 출신 학교. 총 60명의 합격자 중 유일한 고졸이었던 노무현 전 대통령의 이름이 명단 맨 아래에 있다.

여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직설적으로 목청을 돋우고 있는 화자(話者) 역시 만만치 않은 이력의 소유자다. 공고와 지방대를 졸업하고 학사 장교로 군 생활까지 마친 뒤 늦깎이로 사법시험에 도전해 당당히 합격한 그는 내로라하는 명문대 출신 검사들 사이에서 ‘빽’도 없고 학연도 없이 능력 하나만으로 고검장 자리에까지 올랐다.

윤 대통령과 불법 대선자금 수사팀에서 1년을 동고동락했고, 역시 거기서 만난 한동훈 전 국민의힘 비대위원장과는 검사 생활 말년에 재회해 왕년의 무용담을 수다로 풀어내던 돈독한 사이였다.

그런데 그의 선택은 옛 동지들이 아니라 그들의 정적인 더불어민주당, 그리고 이재명 대표였다. 이른바 ‘대장동 변호사’의 일원으로 맹활약하다가 이번 총선에서 여의도에 입성한 그는 양부남 민주당 의원(63·광주 서구을, 이하 경칭 생략)이다.

양부남 당선인이 유권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 양부남 의원실

양부남 당선인이 유권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 양부남 의원실

그는 왜 그런 선택을 했을까. 그가 ‘이것이 팩트다’ 팀과 마주 앉았다. 구변 좋은 그의 입에서는 윤 대통령, 이 대표, 그리고 한 전 위원장과의 얽히고설킨 사연이 줄줄 흘러나왔다. 과거를 회상할 때 꼬리가 올라갔던 그의 입은 현실을 언급할 때 매서워졌다. 지금부터 양부남의 이야기보따리를 차근차근 풀어보자.

여의도법인(人)의 절반, 변호사...‘전문가’와 ‘탈레반’의 갈림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