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수읽기는 정교했지만 착각이었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본선 4강전 1국> ●·이세돌 9단 ○·커 제 9단

기사 이미지

10보(101~116)=우려와는 달리 이세돌의 손길이 빠르다. 검토진이 미처 발견하지 못한 수가 있었나? 섬광 같은 감각을 가진 이세돌이라면 그런 수를 찾아낼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런 희망이 검토실 젊은 프로들의 손을 바둑판 위로 바삐 오가게 만들었으나 안개 자욱한 숲도 아닌데 좀처럼 길은 보이지 않는다.

1로 젖혀 나오고 2의 호구로 막을 때 통 속에서 바둑돌을 꺼내던 이세돌의 손이 흠칫, 멈춘다. 좌변 3, 4는 복잡한 생각의 가지를 쳐내기 위한 시간 활용. 어쩔 수 없나? 내친걸음, 달리는 호랑이 등 위로 올라탄 기세로 달려간다. 그러나 프로는 아니라는 확신이 서면 종착역에 와서도 돌아서는 사람. 7, 9, 11로 찌르고 빠져나올 때 ‘수가 있다’는 생각에 오류가 있음을 알아차린 것 같다. 착각이었다.

‘참고도’의 수순은 정교했지만 흑1부터 15까지, 백 네 점을 잡고도 살 수 없는 형태라는 걸 깜빡했다. 17로 뚫어도 18로 틀어막아 수가 나지 않는다. a의 곳이 유일한 흠집인데 그곳을 끊어봐야 차가운 얼음벽을 무너뜨리는 수단은 없다. 위기다. 상변에 뛰어든 특공대가 이렇게 크게 잡히면 그 후유증은 패배로 직결될 것이 틀림없다. 이세돌의 얼굴에 깔린 그늘이 점점 짙어진다.

손종수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