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저장장치(ESS) 쓰면 전기요금 더 깎아준다…50만원 절감하면 요금 50만원 추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스포츠센터를 운영하는 김모씨는 벌써부터 올 여름이 두렵다. 전기요금 때문이다. 유난히 덥고, 길었던 지난 여름 에어컨을 하루 종일 가동했더니 연간 전기요금이 2억8000만원이나 나왔다. 고민 끝에 김씨는 올해 7200만원 정도인 중소형 전기저장장치(ESS)를 설치하기로 했다.

ESS를 이용하면 전기요금이 싼 밤 시간에 전기를 충전했다가 요금이 비싼 낮에 쓸 수 있기 때문이다. 예상대로라면 연간 약 600만~700만원 가량 요금이 줄어든다.

김씨와 같은 ESS 사용자가 더 큰 혜택을 주는 방안이 나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ESS 사용으로 기본요금을 줄인 만큼, 같은 금액을 매월 추가로 할인해주는 ‘ESS 전용요금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를 반영한 ‘전기공급약관 시행세칙’ 개정안을 인가했다고 22일 밝혔다. 계절별, 시간대별로 다른 전기요금을 적용받는 전국 16만3000개 상가·기업·학교 등이 대상이다. 투자비가 워낙 비싸 일부 대규모 기업만 ESS를 활용하고 있다는 점을 반영한 조치다.

예를 들어 연 1만4000㎾의 최대수요전력을 사용하는 A업체가 1㎿급 ESS를 설치해 전력사용량을 500㎾ 줄인다면 4992만원 가량의 요금을 절감할 수 있다. 전용요금제에 따라 이만큼 더 할인해주겠다는 것이니, 이 업체는 연간 약 1억원 가량의 전기요금을 아낄 수 있게 된다.

ESS 투자 회수 기간도 10년에서 6년으로 줄어들 전망이다. 1㎿급 ESS를 설치하는 데 드는 비용은 배터리 5억원, 출력장치 3억원 등 대략 8억원 정도다. 전용요금제를 활용하면 최대 연 1억3000만원씩 비용을 줄일 수 있어 6년 만에 회수가 가능해진다.

산업부는 23일부터 한국전력 지사를 통해 ESS 전용요금제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김성열 산업부 전력진흥과장은 “전용요금제는 우리보다 ESS 산업을 빠르게 키워가는 선진국에도 없는 파격적인 지원책”이라며 “ESS 활용이 늘면서 3000억원(380㎿) 규모의 피크절감용 ESS 시장이 창출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