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이 달의 예술-건축

인문학자였던 건축가 이종호, 그의 2주기를 기억하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31면

기사 이미지

민현식
건축가·건축사사무소 기오헌

모더니즘 시대의 건축가들은 예술가처럼 작업했다. 그들의 화두는 창조였다. 우리는 그들의 건축을 ‘작품’이라 부르면서 형태 창조자(form giver)로 대접했다. 특히 20세기 거장들을 조물주(architect)의 지위에까지 올려놓기도 했다.

후배 건축가들은 거장들을 롤 모델로 삼았다. 건축의 형태를 구성하는 요소, 즉 시각언어, 재료와 공법, 디테일 등에서 다른 이들과 확연히 구별되는 독자적인 것을 고안해내고, 그것을 반복적으로 사용해 자기 건축의 아이덴티티 로 삼는 일에 골몰했다. 건물의 모양만 보아도 그것이 누구의 작품인지를 알 수 있어야 비로소 건축가의 반열에 들었다고 여겼다. 어떤 가치보다 창조가 앞섰다.

지난달 말 『건축가 이종호』(metta/우리북)가 출간됐다. 2년 전 우리 곁을 황망하게 떠난 이종호(1957~2014)의 작품을 엮은 책이다. 이 책에서 우리는 디자인된 형태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예술가이기를 스스로 거부하고 마치 인문학자처럼 작업했던 한 건축가를 만난다. 그에게는 정치·경제·사회, 문화 및 예술, 그리고 과학, 심지어 잡기까지 인간과 관련된 것이라면 모두 건축이었다. 그는 형태의 독자성이나 일관성보다 오히려 기능에 따라 달라지고, 건축이 자리 잡은 장소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거기에 살게 될 사람이 누군가에 따라 달라지기를 바랐다.

기사 이미지

‘박수근미술관’ 전경. 이종호(원 안)는 어린 시절 박수근이 보고 자란 풍경을 보여주려 했다. [사진 김재경]

그의 작업은 건물 주변의 자연적 환경과 인문적 환경을 살피는 일에서 시작한다. 이어 그 결과를 조합하고 재편집해 자연과 사람,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려고 한다. 특히 건축을 매개로 형성되는, 또는 형성되기를 바라는 사회적 관계에 집중한다.

강원도 양구에 있는 ‘박수근미술관’이 대표적이다. 여기에서 이종호가 박수근(1914~65)의 그림보다 정작 우리에게 보여주려 했던 것은 생전의 박수근이 일상생활에서 보아왔던 고향 풍경이다. 이종호는 이 특별한 풍경을 통해 방문객과 박수근이 만나기를 바랐다. 해서, 건축은 그 풍경을 특별하게 경험하는 장치일 따름이다.

또 이종호는 같이 있어야 할 필연적인 이유가 없어 보이는 문화기획자 강준혁, 김덕수 사물놀이패, 그리고 건축 설계 집단 메타를 ‘메타사옥’(서울 동숭동)에 불러들였다. 그들이 건축을 매개로 특별한 문화공동체를 형성하도록 추동했다. 지금 그들은 여기를 떠났지만 그 유대는 아직도 견고하게 지속되고 있다.

유작이 된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은 무심하게 널브러져 있던 나무, 조형물, 집들의 관계망을 바닥에 새겨 넣은 판들의 조직이다. 이종호는 이 판 위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이벤트가 자율적인 독자성을 가지고 서로 적극적으로 상관하기를 바랐다.

무엇보다 이종호는 건축을 매개로 한 행복한 관계를 추구했다. 또 이를 통해 한 차원 높은 문화적 가치를 창조(하려)했다. 그가 사유했던 인문학적 건축이 오히려 더 건축의 본질에 가까운 것이 아닐는지…. 이 글을 쓰는 지금, 그의 빈자리가 유난히 크게 느껴진다.

민현식 건축가·건축사사무소 기오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