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신장이식, 혈액형 안 맞아도 '안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이 최근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100례를 돌파했다.

100번째 환자는 말기 콩팥병을 앓고 있는 최모씨(54·남)로, 혈액형이 다른 배우자로부터 신장을 성공적으로 이식받아 현재 정상건강을 회복했다.

과거 공여자와 수혜자의 혈액형이 맞지 않으면 이식은 불가능하다는 게 통념이었다. 이식 후 초급성 항체매개성 거부반응 발생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거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는 항체주사와 혈장반출술의 개발로 혈액형 부적합 이식이 가능해진 상태다.

따라서 가족 중 혈액형이 일치하는 공여자가 없어 이식을 꿈꿀 수 없었던 많은 말기 콩팥병 환자들은 희망의 이식 기회를 잡을 수 있게 됐다.

이와 관련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는 지난 2009년 5월 이후 지금까지 100례가 이뤄지는 동안 이식실적을 조사 분석했다.

6년이 조금 넘는 기간 동안 신장이식 수술은 총 868건이 진행됐으며, 이 가운데 혈액형이 다른 경우는 100건(11.5%)이었다.

이들의 5년 생존율은 90% 이상이었다. 부부간 이식이 45%로 가장 많았다. 같은 기간 시행된 혈액형 일치 부부이식(23%, 177건)보다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혈액형 부적합 이식을 받은 환자의 3분의 1은 면역학적으로 고위험군에 해당됐지만, 이식을 위해 효과적인 탈감작 치료를 시행해 위험을 극복했다.

양철우 센터장(신장내과)은“면역억제제와 탈감작 요법의 발달로 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이 말기 신부전 환자들에게 중요한 치료법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혈액형 부적합 신장이식 이후 5년 생존율은 혈액형 일치 이식과도 비교해도 차이가 없을 정도로 안전하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척추수술 오해와 진실…받으면 통증 없어질까 [2016/01/11] 
·새해부터 의료계-한의계 갈등 증폭 [2016/01/11] 
·폐암 절반은 발견 시 ‘4기’…남성, 여성보다 2배 많아 [2016/01/11] 
·세계 건강보장 기관 대표 한 자리에 [2016/01/11] 
·신장이식, 혈액형 안 맞아도 ‘안전’ [2016/01/11] 

김진구 기자 kim.jingu@jon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