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집단위 가·나·다군 골고루 분산, 가산점 수학B형 10%, 과탐 5%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9면

숭실대

기사 이미지

이상은 입학처장

숭실대는 2016학년도 정시모집에서 전체 모집 인원의 40%인 1235명을 선발한다. 정시모집의 가장 큰 특징은 ▶모집단위 분산 선발 ▶교차지원 허용 ▶모집단위(자연계열2) 확대(7→8개) ▶자연계열2 가산점 확대(수학B 10%, 과탐 5%) ▶예술창작학부 전형방법 변경 등을 꼽을 수 있다.

숭실대는 일반전형(정원 내)에서 가군 438명, 나군 236명, 다군 449명을 선발한다. 지난해 가군에서 인문계열, 다군에서 자연계열을 선발했지만 올해는 계열과 상관없이 각 모집군으로 분산해 학생들의 선택의 폭을 넓혔다. 실기고사전형을 제외한 모든 전형에서 수능 95%와 학생부 교과 5%를 반영한다.

 정원외전형(농어촌도서벽지학생·특성화고교졸업자·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은 수능 60%와 서류종합평가 40%로 106명을 선발한다. 특성화고졸재직자는 학생부종합전형으로 6명을 선발한다.

일반전형에서 인문계열은 국어B·수학A·영어·탐구(사회 또는 과학 2개 과목) 성적을 본다. 자연계열1은 국어A·수학B·영어·과학탐구(2개 과목), 자연계열2는 국어(A/B)·수학(A/B)·영어·탐구(사회 또는 과학 2개 과목)를 각각 반영한다. 수학B와 과학탐구에 응시한 수험생에게는 해당 과목에 표준점수 10%, 백분위 5%의 가산점을 준다. 지난해 수학B에만 7%의 가산점을 줬다.

지난해 교차지원이 가능했던 자연계열2는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건축학부·컴퓨터학부·글로벌미디어학부·소프트웨어학부·스마트시스템소프트웨어학과 등 7개였다. 올해는 전자정보공학부(IT융합전공)를 추가해 8개로 늘렸다. 인문계열 수험생은 학과 선택의 폭이 넓어졌지만 국어A와 수학A를 동시 응시한 학생은 지원할 수 없어 유의해야 한다.

숭실대는 계열별로 수능 반영 영역과 비율을 다르게 적용한다. 인문계열은 국어B 35%, 수학A 15%, 영어 35%, 탐구(사탐 또는 과탐) 15%를 반영한다. 경상계열은 국어B 15%, 수학A 35%, 영어 35%, 탐구(사탐또는 과탐) 15%를 반영하고 자연계열1은 국어A 15%, 수학B 35%, 영어 25%, 과탐 25%를 적용한다. 경상계열은 자연계열1처럼 국어(15%)보다 수학(35%)의 반영비율이 높다. 따라서 인문계열 수험생이 국어보다 수학 성적이 좋다면 경상계열 학과에 지원하면 유리하다.

계열별 학생부 교과 반영비율도 다르다. 인문계열은 국어 35%, 수학 15%, 영어 35%, 사회 15%를 반영한다. 경상계열은 국어 15%, 수학 35%, 영어 35%, 사회 15%를 적용한다. 자연계열은 국어 15%, 수학 35%, 영어 25%, 과학 25%를 반영한다. 예술창작학부 전형방법도 바뀐다. 영화예술전공은 수능 70%와 실기 30%, 문예창작전공은 수능 95%와 학생부 교과 5%로 뽑는다.

강태우 기자 kang.taewoo@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