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필 거부 확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성균관대·한국외대·중앙대·서울시립대의 역사 관련 학과 교수 29명이 15일 “국정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겠다”며 공동선언서를 냈다. 참여한 교수는 성균관대 사학과 10명, 한국외대 사학과 7명, 중앙대 역사학과 5명, 서울시립대 국사학과 7명이다. 성균관대와 서울시립대에서는 각 한 명씩 역사 관련 교수가 이에 불참했다.

성대·한국외대·중대·서울시립대
이화여대·부산대·전남대 교수 81명

 이들은 성명서에서 “국정화는 독재체제에서 행하는 일이다. 정부의 일방적 지침에 따라 편찬된 역사 교과서는 학생들의 다양한 인식과 창의력, 상대방을 배려하고 포용하는 민주주의적 사고능력의 성장을 저해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국정교과서의 집필 참여를 거부할 뿐 아니라 국정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어떠한 과정에도 참여하지 않을 것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화여대 교수 74명도 이날 “국정화는 한국 사회가 이룩한 제도적 성취와 국제적 상식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내용의 성명서를 냈다. 그중 역사 관련 교수 9명은 별도의 성명서에서 “국정교과서와 관련된 모든 절차에 협력을 거부한다”고 밝혔다.

국립대 역사 계열 학과 교수도 집필 거부에 동참했다. 부산대 교수 24명과 전남대 교수 19명이 “국정교과서 집필을 거부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앞서 13일에는 연세대, 14일에는 고려대와 경희대의 국사 관련 학과 교수 전원이 “국정교과서 제작에 일절 관여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교수들의 집단 의사 표출은 계속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국사편찬위원회 관계자는 “필요한 경우에는 거부 의사를 밝힌 학자들도 거듭 설득해 훌륭한 집필진이 구성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성시윤 기자 sung.siyoo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