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과용하다간 청력 영원히 잃을수도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국내 연구팀이 항생제가 영구적으로 청력 상실을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특히 전신감염이 있을 때 청각 손실을 유발하는 항생제를 사용하면 난청이 더 심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구자원 교수팀과 미국 Oregon Hearing Reserch Center 피터 스테이저 교수팀은 치명적인 세균감염을 막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 계열 항생제인 겐타마이신의 난청발생 기전을 규명했다.

겐타마이신은 달팽이관의 청각세포를 손상시켜 난청을 초래하는 대표적인 이독성 약물이다. 주로 뇌수막염·신생아 패혈·낭성 섬유증 치료를 위해 치명적인 세균 감염을 막기위해 제한적으로 사용한다.

연구팀은 생주 실험을 통해 세균감염이 있으면 청각세포 손상이 심해져 난청이 심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달팽이관의 청각세포에 쌓이는 약물독성이 늘수록 난청이 심해졌고, 세균이 감염됐을 때 염증 매개물질이 이런 현상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했다. 한 번 손상된 청각세포는 재생되지 않아 영구적으로 청력을 잃을 수 있다는 의미다.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구자원 교수는 “세균 감염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하는 항생제가 그 대가로 비가역적인 청력소실을 초래한다는 것은 가혹하다”며 “약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면서 급성난청의 예방과 조기치료를 위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미국 국립보건원(NIH;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과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으로 이뤄졌으며, 난청의 기전과 이독성(耳毒性) 약물의 연구에 있어 획기적인 발견으로 인정받아 사이언스 중개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서남대 '최하위' 등급에 명지의료재단 발동동 [2015/09/03] 
·희망의 메시지가 담긴 병원의 웨이파인딩 사인 디자인 [2015/09/02] 
·삼성서울병원 환골탈태 선언…1000억원 투입 [2015/09/03] 
·[기자수첩] 간호협회를 찾습니다 도대체 어디 있나요 [2015/09/03] 
·놀이터야 병원이야…어린이병원의 대변화 [2015/09/03] 

권선미 기자 kwon.sunmi@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