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비즈 칼럼

경제 활성화, 중소기업 글로벌화에 달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8면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세계 중소기업학회 차기 회장
아시아 중소기업학회 회장)

경제 활성화의 핵심은 중소·중견기업이 과연 글로벌화 할 수 있느냐에 달려 있다. 1995년 저성장기로 접어든 일본경제는 당시 내수활성화 중심정책으로 글로벌화에 실패한 것이 잃어버린 20년의 핵심요인 중 하나였다.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이미 우리 중소·중견기업에도 갈라파고스증후군이 보여지고 있다. 정부는 지난 달 13일 대통령 주재로 2015 국가재정전략회의를 개최하고 10대 분야 재정개혁과제의 하나로 정부 연구개발(R&D) 혁신 방안을 발표했다.

 우리 경제의 국가 R&D 투자 규모는 지난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13년 기준으로 투자규모(542억 달러) 세계 6위, 국내총생산(GDP) 비중(4.15%)으로는 세계 1위를 기록했다. 그러나 투자규모의 확대에 따른 성과의 창출은 다소 미흡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정부가 R&D 혁신 방안을 수립하고, 정부 R&D 지원체계를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대대적으로 개편하기로 한 것은 참으로 시의적절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다.

 정부 R&D 혁신방안의 성공적 추진을 바라는 마음으로 필수적으로 고려돼야 할 사항을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중소·중견기업의 안정적 R&D 투자규모 확대를 담보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확충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 국가 R&D 투자규모의 GDP 비중은 세계 1위이지만 250인 미만 중소기업에 대한 R&D 투자 비중은 국제협력개발기구(OECD) 28개국 중 18위에 불과하다. 국가 전체의 R&D 투자규모 확대 속에서도 중소기업 R&D 투자는 지난 2013년 오히려 3.6% 감소했다.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전담지원체계 확립이 병행돼야 할 이유다.

 둘째, R&D 투자를 통해 이뤄진 기술개발 성공이 반드시 사업화 성공까지 이어질 수 있는 관리시스템이 확립돼야 한다. 각 부처에서 추진하는 R&D 지원 사업의 기술개발 성공률은 90%를 넘는다. 하지만 후속 사업화 성공률은 기술개발 성공률의 절반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R&D 투자가 사업화 성공으로 원활히 이어질 때 R&D 투자→기술개발 성공→사업화 성공→매출증대·고용창출→R&D 투자확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창출될 것이다.

 셋째,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전략적 R&D 지원이 강화 돼야 한다. 중소기업이 수출·해외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고용·생산 비중보다 크게 낮은 수준이고 주요 선진국에 비해서도 저조한 실정이다. 수출주도형 중소기업의 경우 R&D 평균 투자규모가 일반 중소기업에 비해 7배,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2배, 연구개발 인력 비중도 4배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돼 중소기업의 글로벌 진출 촉진을 위한 전략적 R&D 지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살펴 볼 수 있다.

 이번 정부의 R&D 혁신 방안의 내실 있는 추진을 통해 그 성과가 새로운 미래 50년의 성장동력을 창출해 300만 중소기업과 온 국민에게 골고루 전달되는 열매로 맺히기를 기대한다.

김기찬 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세계 중소기업학회 차기 회장 아시아 중소기업학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