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제한폭 2배로 확대…증권시장 활성화vs불안정 엇갈린 반응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가격제한폭 확대

지금 주식시장의 하루 가격제한폭은 15%이다. 하지만 다음 달 15일부터는 30%로 확대된다. 정부는 주식시장을 활성화하고 상하한가 제도를 이용한 주가조작을 줄이기 위해서 증권시장에도 손을 댓다.

가격제한폭의 확대는 쉽게 설명해 만 원짜리 주식을 예로 들면 현재는 하루 1500원까지 오르거나 내릴 수 있지만 앞으로는 3000원까지 변동이 가능해지는 것을 의미한다. 가격제한폭이 확대와 관련해 한국거래소의 상무 이규연은 “시장의 효율성을 한 단계 높이고 건전한 투자문화를 정착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하지만 지금보다 가격제한폭이 확대되면 주가가 훨씬 크게 오르내리는 만큼 시장에 충격도 우려된다. 주가가 내릴 때 이익을 얻는 이른바 공매도에 대한 규제가 약한 것도 불안 요소로 작용한다. 가격제한폭 확대에 대해 전문가들은 시행 초기 일부 종목의 주가 급등락이 예상되며, 개인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가격제한폭 확대에 관해 삼성증권은 20일 "가격제한폭 확대는 Long-Short 전략 확산과 이에 따른 대차거래 증가, 주가연계 간접투자상품의 전략적 효용성 증대 등으로 파급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용구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가격제한폭 확대 시행의 증시 영향 분석'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는 고객의 Needs가 가격제한폭 확대를 통해 보다 복합적인 양태로 변화해갈 것임을 시사하고 있는데, 그 대응능력 여하에 따라 증권사의 성패는 극단적으로 엇갈린 공산이 크다"고 전했다.

이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가격제한폭 확대라니” “가격제한폭 확대하면 정말 활성화되나?” “가격제한폭 확대해서 어떤 영향을 미칠까” 등의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 중앙일보 jstar@joongang.co.kr ‘가격제한폭 확대’
[사진 JTBC 캡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