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통신공사등 국영기업|기술개발등 추진체로 육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는 부진한 정부투자기관들의 기술개발강화를 위해 한국전력·전기통신공사등 16개국영기업체에 대해 중· 장기기술개발계획수립등 기술개발 활성화대책을 마련, 시행키로 했다.
31일하오 청와대에서 열린 제4회 기술진흥심의회(위원장 이정오 과기처장관)는 정부투자기관의 기술개발투자가 민간기업(매출액대비1·05%)의 3분의 1수준인 0·39%에 불과하고 연구 인력도 주요민간기업의 4분의1수준에 불과해 국가기술개발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고 지적하고 이를 타개하기 위해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국영기업체를 국가핵심기초기술의 주도추진체로 육성하기위한 정부의 방안은 ▲관련분야의 기술동향분석및 예측▲중·강기기술개발계획수립▲국영기업소득의 일정액을 기술개발계정화▲기초연구및 인력양성강화▲국영기업 경영평가중 기술개발관련항목의 가중치상향조정(7∼20%상향조정) ▲정부구매예시제도 확대▲관련중소기업 기술지도강화▲기관별 기술개발협의회구성운영등으로 되어있다.
외국의 경우 일본은 전신전화공사에만 3개연구소와 2천9백명의 연구원을 두고 총매출액의 2% (이익금의20·5%) 를 기술개발에 투자해 광통신·반도체·정보시스템등 핵심기술개발을 주도하고 있고 대만도 국영기업총매출액의 1%를 기술개발에 투입하고 있다.
이날 기술진흥심의회는 파인시래믹등 신소재 개발지원과 에너지 절약형 산업용 보일러의 개발지원을 강화할 것 도 아울러 의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