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DNA 결과 나오면 수사 착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검찰은 황우석 교수의 논문 조작 및 '줄기세포 바꿔치기'의혹과 관련, 서울대 조사위원회의 줄기세포주 DNA 지문 분석 결과가 나오는 대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할 계획이라고 23일 밝혔다.

서울대 조사위가 이날 중간조사 결과를 통해 "22일 3개 전문기관에 의뢰한 DNA 지문검사 결과가 며칠 내에 나올 것"이라고 밝힌 점에 비춰 검찰 수사는 내년 초 본격화될 전망이다.

검찰은 황 교수가 전날 "김선종(34) 연구원 등이 미즈메디병원의 수정란 줄기세포를 서울대에 옮겨와 그것을 마치 환자맞춤형 줄기세포인 것처럼 배양했다"며 수사 의뢰한 사건 등 줄기세포 논란과 관련한 5건의 고소.고발 사건을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에 배당했다.

서울중앙지검 황희철 1차장검사는 "수사는 일단 줄기세포 바꿔치기 의혹에 집중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현재 서울대 조사위에서 진행 중인 DNA 검사 결과 등이 나와야 황 교수를 비롯한 관련자들을 소환조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검찰은 먼저 황 교수를 불러 수사요청서를 접수한 배경 등을 조사한 뒤 미국에 체류 중인 김선종 연구원이 귀국하면 황 교수의 주장대로 줄기세포를 바꿔치기했는지 등을 추궁할 계획이다.

황 교수팀의 논문 조작 자체에 대해서는 형사처벌 대상이 아니라며 선을 그었다. 검찰 관계자는 "논문은 공문서가 아닌 사문서에 해당하고, 사문서를 허위로 작성한 행위를 처벌할 수 있는 법 조항은 없다"고 설명했다.

논문 조작으로 연구비를 지원받았다는 의혹과 관련, 검찰은 "감사원이 연구비에 대한 감사를 벌이고 있는 만큼 당장 수사할 생각은 없다"며 감사원의 고발이 있을 경우 수사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대검 중수부 첨단범죄수사과는 황 교수 논문 등을 입수해 정밀 검토 작업을 벌이고 있다. 고소.고발 사건은 서울중앙지검 형사부가 담당하지만, 황 교수 연구와 관련해 국가예산이 수백억원 투입된 이상 수사 확대가 불가피하다는 게 검찰의 입장이다.

장혜수.문병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