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심 재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도시재개발은 도시기능의 극대화, 공간활용의 효율화를 위해서 필요한 도시건설 정책의 일환이다.
서울시가 도심 32개지역을 재개발지구로 지정하고 86년까지 대형빌딩을 짓도록 한 것은 그런 관점에서 타당성이 있다.
도심지구는 이미 주거나 공장부지로 활용할 수가 없게 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업 또는 연지지구로 전용해야만 한다.
이에 맞추어 도시재개발을 서두르는것은 당연한 추세다.
다만 서울의 부심 재개발에는 몇가지 측면에서 고려되어야할 점이 있다.
우선 정부의 도시재개발 정책의 일관성, 장기적인 도시개발 방향과 일치되고 있느냐 하는것이다.
지난80년 당시 국보위는 불량 주택을 개량하는데 주력하는 반면, 도시재개발은 가능한한 억제토록 하겠다고 밝힌바 있다. 도시재개발은 도시의 발전과정에 맡기는것이 자연스럽다는판단에 따른것 같다.
그후 또 다시 서울도심 재개발을 서두른다는것은 정책결정 과정의 신뢰성에 의문을 제기할 위험이 있다.
또 지난81년 건설부는 20년계획으로 전국부시에 기본계획을 세우도록 하겠다고 공표했다.
1백만명 이상의 대도시, 지방및 농촌도시로 분류하여 교육·의료·여가·금융·문화·복사·유용시설을 적정하게 배치하겠다는 것이다.
건설부의 장기계획 속에 서울시의 도시재개발계획이 포함되어 추진하는 것인지 명백하게 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원칙적인 문제와의 상층만 없으면 서울시의 도심재개발은 합리적으로 추진되는것이 마땅하다.
물론 그 전제는 도심 불량지구의 재정비이니만큼, 서울시가 내세운대로 도시미관을 고려한 항구적인 개발에 중점을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불량지구를 빌딩으로만 대체한다고해서 재개발이 끝나는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서울의 스카이 라인과 조화되면서 건축미를 살린 건물이 들어서야한다.
서울시는 아시안 게임을 의식, 86년까지 속성으로 재개발을 끝내겠다는 방침으로 있다.
대규모 국제행사를 앞두고 서울의 부끄러운 곳을 가리는것도 좋다.
그러나 서울의 고유미를 외면한채 낮은 건물을 큰 시멘트 덩어리로 바꾼다면 그것은 눈가림에 그칠뿐이다.
한번 재개발을 했으면 세계 어느도시에 비해도 손색이 없는 항구적인 재개발이 되도록 해야한다.
충분한 녹지를 확보하는 대책도 범행되어야한다.
신축빌딩에 20∼25% 연지를 두도록 하는것은 반드시 뒤따라야할 보완대책이라고 할만하다.
그와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건축 용지로만 쓴것이 아니라 서울시가 재개발 지역을 매입해서 연지로 바꾸는 방안도 검토하기 바란다.
서울의 도심 재개발은 필연적으로 도심과 주거지역의 구분을 촉진한다. 시차를 두고 서울의 인구유동이 더욱 심해진다는것을 뜻한다.
차량의 증가, 유동 인구의 증가는 교통망의 확대를 요구하게 된다.
모든 교통 수단의 개선이 이루어져야만 서울의 기능은 제힘을 발휘할것이다.
도시 공간을 최대한으로 이용하려면 도시 재개발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한다.
도시의 미적 감각이나 환경의 최적화가 상실되지 않는 도시 재개발이 되어야한다는것도 역시 빼어놓을수 없는 필수 조건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