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교,「도산」선교정책 재검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기독교는 최근 도시산업선교정책의 문제점들을 정비, 선교노선의 과격화를 막는 방안을 공식 검토하기 시작했다. 한국기독교의 장자인 장로교 (통합) 는 지난달 말에 열렸던 금년도 교회총회에서 도산의 명칭을「산업부도회」로 개정하고 일체의 외국원조를 받지 않는 것 등을 내용으로한 도시산업선교정책 정비방향을 논의했다.
장로교총회는 새로운 노선정립 결론을 내리지는 못했지만 도산선교정책문제를 교단정책협의회에 법겨 계속적인 연구를 진행토록 했다.
이같은 기독교 스스로의 도산문제 검토는 처음 있는 일로 고계내외의 큰 관심을 모았다.
특히 명칭부터를 진보노선의「선교」에서 순수복음 노선의「부도」로 바꾸겠다는 것은 도산의 보수-온건화를 뜻하는 일대의 변혁이 아닐 수 없다. 외국원조의 배척은 도산의 한치부를 수술하려는 대담한 의지로 평가되고 있다.
어쨌든 도산의 정비논의는 아직 결론은 없지만「교회의 사회참여」문제 중에서도 가장 예리한 갈등을 빚어온 사회문제의 하나라는 점에 서 교계 안팎의 커다란 관심사가 아닐 수 없다.
장로교총회 오사위가 성안한 도산정비안은 이밖에 지구별 도산선교위원회를 해체하고 모든 사무를 해당지역 노회에 이관토록 한다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새로운 산업전도조직은 노회가 전권을 행사하고 총회전도부의 지시와 지원을 받도록 했다. 산업전도의 전도자훈련및 사업내용 역시 총회전도부가 관장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사용해온 도산선교지침및 인사문제도 재검토하도록 하고있다.
이같은 경비방향은 도산의 영웅주의적 독자노선을 교단조직 속에 흡수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물론 장로교단의 도산정비 안은 총회산하 소장 목회자그룹인 새시대 연구회·현대목회연구화·현대신학연구회등의 비판을 불러일으켰고『교단선교정책을 50년이나 후퇴시키는 것』이라는 공격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도산은 산업선교측면에서 찬·반 양론을 일으켜온 것이 사실이다.
장로교의 도산정비논의는 도시산업선교 25주년을 맞는 각종 기념행사와 대회에 앞선「싯점」이어서 강은의 대조가 더욱 푸렷해 보였다.
한국교회협의회(KNCC)는 28∼31일까지 서울영등포산업선교회관 등에서『가난한 이에게 복음을』이란 주재로 도산 25주년 기법대회를 가질 예정.
이 대회는 한국산업선교의 4반세기 평가와 현실상황 속에서의 새로운 선교진로도 모색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산측의 새 진로모색은 장로교단의 온건 복음주의적 방향과는 궤를 달리하는 대조적「강경」일 것으로 추정된다.
원래 산업선교는 장로교단이 교단총회결의로 처음 실시, 오늘에 이르는 동안「교회와 국가」관계 차원으로까지 발전돼 찬반의 공방을 되풀이 했다.
도산원조인 장로교단의 산업선교정책 정비모색은 교회와 사회의 현실적 갈등과 상반된 이해를 조화시킬 기회로 활용돼야 할 것 같다.
도산의「정의감」이 과연 오늘의 한국적 사회 현실과 조화될 수 있는 것인지를 폭넓게 검토해보는 교계의 자생은 높이 평가할만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