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연구, 겉돌고 있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15일은 38번째 맞는 광복절. 지난 1945년이래 되풀이해 맞아온 광복절이지만 진정한 광복의 의미는 어디서 찾아야할 것인가. 실로 「빛나는 회복」(광복) 이란 민족의 통일에서 구해야 하지않을까.광복절에 생각해보는 통일이란 의미에서 오늘날「통ㅡ연구」의 현황은 어떤지 살펴본다.
흔히 통일의 연구는「시대의아들」, 환경조건 변화의 산물이라고들 한다.이는 통일에 대한 연구가 시대에 따른 정지척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방응하는 분야로서,시대는 연구에 대한 관심도와 시각을 규정하고 연구자의 빈과 양까지도 한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전에 비해 상황은 많이 나아졌다고들 한다.
그러나 아직도 통일연구의 중요성이나 필요성은 크게 강조되면서도 실제로 이분야의 연구만큼이나 학문적 관심영역의 외곽에서 멤돌고 있는 부문도 없다는게 학자들의 지적이다.
안동영교수 (연세대) 는 한 연구논문에서 『일반 사회과학의 원류로부터 소외되고 있을뿐더러「북한전문가」 라는 호칭자쳬가 비하적 함축미를 담고 있음을 부정하기 어렵다』 고 지적했다.
그는 또 최근 열린 숱한 국재규모의 통일문제 세미나가 이방면의 학문적 체계화나 정책적제안을 위해 얼마나 유용한가 자생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대개 남북한 관계나 한우조 정세를 논의할땐 북한은 으례 곁치레로 벗겨가거나 아예 잘모른다는것이 스스럼 없이 전제되기도한다.가장 중요한 변수를 가장 소홀히 다루는 태도 자쳬가 통일연구의 진척을 지지부진하게 만드는 근본원인.
오늘날 학술지의 대용역할을맡고 있는 삼합지가 많은 특집에서 국제정치적 시논의 차원을 넘지 못하고 통일관계 논문수록을 외면, 내막폭로유의 해설로 대체하고 있는 것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안교수는 통일연구의 문제점으로 통일론과 사회과학계 일반의 지적 단절,발굴 개발되지 못하는 제2세대 학자 전문가들의 취약성읕 들었다. 그는 또 경제학·사회학 역사학동 관계 학문의 참여없는 정치학 주도의 통일연구의 한계도 지적했다.
물론 자료난의 해소와 자유로운 연구환경,연구비의 효율적인 배분등 연구지원 체제의 확립도 중요한 문제.
한편 「통일연구」 에는 실제로 어떤 연구들이 추진돼야할까.
이상우교수(서강대)는 우선통일에 관해 우리가 무엇을 소망하는가 하는 정책목표에 대한 규법적 연구가 필요하다고보았다(『민족통일연구대계』).
구쳬적으로 통일된 한국의 정치이념 정치체졔는 어떠해야 하는가, 북한과의 통일협상에서 어느 정도까지 양보해도 좋은가하는 근본 문제서부터 통일정책 추진과정에서 어느정도의 인명피해,경제적 손실등을 감수할 것인가 하는 문제까지 포함하는 연구다.
둘째로 우리가 처해 있는 현실에 대한 객관적 분석이 필요하다.한국의 외적 환경으로서의 국제정세의 추이,통일대상으로서의 북한의 현실,한국안의 통일정책 실천능력 분석등통일정책에 전제되는 모든 현실분석은 물론 미래의 예측과과거 역사의 분석도 포함돼야한다.
세째로는 이러한 규범적 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토대로한 구쳬적 정책안에대한 연구다.
앞으로 이러한 연구가 제대로 진척되려면 연구간의 중복올 피하고 유기적으로 협조,모든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조직화하는 작업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연구의 현황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는실정.
어느 학자는 일부 중복,양산되는 논문들이 「학자들의 후생」에는 도움이 될지 모르나 실질적인 통일연구에 어떤 보탬이 되는지 자문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통일원은 최근 통일문제에 관한 주요자료 4천여총을 선별, 『한반도문제에 관한 문헌목룩』 을 펴내 학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있으나 분야별 연구현황의 분석과 상세한 문헌 해제가 시급한 실정이다.
이제 한국 민족주의의 좌절로서의 분단(김학준교수·서울대)을 극복,더이상의 민족적소모전을 막으면서 평화와 통일이라는 두개의 소중한 가치릍 동시에 추구해야할 「통일연구」의 과제는 어느매 보다도강한 추진력이 요구되고 있다.<이근성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