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선의 방어는 공격?' 여야, 도청 공방 가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DJ정부 시절에도 불법도청이 이뤄졌다는 국정원의 '고백'이 정치권에 강력한 후폭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6일 여야는 얽히고 섥힌 불법도청의 파장이 어디까지 튈지 몰라 곤혹스로워하면서도 상대방을 향한 공세의 수위는 계속 높여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음모론과 의혹제기, 특정인을 향한 경고와 역공도 난무하고 있다.'최선의 방어는 공격'이라고 판단한 점에서는 일치하는 셈이다.

한나라당은 국민의 정부 시절의 도청 의혹에 대해 총공세를 펴는 동시에"현 정권의 도청여부도 국정조사로 가리자"며 의혹을 제기하고 나섰다.

한나라당은 당장 다음 주부터 기존에 당내에 구성돼있던 불법도청 근절 대책기구에 당 소속 국회 정보위원과 과기정통위원들을 추가로 배치, 본격적으로 DJ 정부 당시의 도청 의혹에 대한 공세에 나선다. 이와 관련, 당시 각종 도청 의혹을 주도적으로 제기했던 '저격수'정형근 의원으로부터 '자문'도 받을 예정이다.

이정현 부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현 정부에서 도청이 없었다는 것은 YS(김영삼 전 대통령)나 DJ가 '안 했다'고 한 해명과 다를 바 없다"면서 "현 정권에서도 불법도청이 없을리 없다는 확신을 지울 수 없으며, 노 대통령과 여당은 명쾌한 해명을 위해서라도 국정조사를 수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또 DJ정부 당시 국정원 간부였던 문희상 의장을 비롯한 열린우리당 고위 지도부에 대해"즉각 사퇴하라"고 요구했다.

당 불법도청근절 진상조사단장인 권영세 의원은 불법도청이 2002년3월 중단됐다는 국정원 발표와 관련, "2003년 봄까지 휴대폰 도청이 이뤄졌다는 류의 제보를 수없이 받았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민주당은 이번 발표가"DJ정부를 겨냥한 현 정부의 공격"이라고 반발하면서 정계개편 등을 겨냥한 음모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화갑 대표는 이날 MBC라디오 '손석희의 시선집중'에 출연, "국정원 발표에 정치적 의도가 있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그런 추측을 한다"고 음모론을 제기했다.

유종필 대변인은 "노무현 대통령이 취임 초 대북송금 특검을 한 것처럼 이번에도 뭔가 DJ와 민주당을 겨냥하는 것이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굳히는데 유리하다는 판단을 한 것이 아닌지 의혹이 든다"면서 "형식은 국정원의 자기고백 형식이지만 내용상으로는 참여정부의 국민의 정부에 대한 공격"이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도 수세적인 태도에서 벗어나 한나라당 등에 대해 역공을 가하기 시작했다.

열린우리당은 국정조사 요구와 관련 "현 정부 불법도청 의혹을 근거 없이 억지주장하며 특검과 국조를 요구하는 한나라당의 주장은 지난날 자신들과 연루된 과거의 잘못된 행위들을 덮으려는 얄팍한 정치적 술수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우리당은 대변인실 명의의 논평을 통해 "우리당과 문희상 의장을 계속해서 음해한다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장영달 상임중앙위원도 "도청 원조당인 한나라당은 끽소리말고 침묵을 지키고, 국민에게 석고대죄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

또 박기춘 사무부총장은 "예전 정부의 요직을 맡았다는 이유로 공격을 한다면 한나라당에선 살아남을 사람이 없다"며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비서관과 내무차관을 지냈던 김무성 사무총장 등 한나라당 지도부에 대해 경고메시지를 보냈다.

<디지털뉴스센터, 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