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 분업분규 계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전국 1만3천여 약국들이 의·약 임의분업조치에 반발, 서울·전남 등 일부 시·도에서는 대부분 대한약사회(회장 황 원성)대의원 총회의 당초 결의대로 26일부터 무기한 휴업에 들어갔다.
김정례 보사부장관과 대한약사회 회장단은 25일 저녁부터 26일 휴업을 7월1얼까지 일단보류하기로 합의했으나 약사회 서울시지부를 비롯한 일부 시·도지부의 거센 반발에 부닥쳐 이들 지역의 의. 약 분업파동은 계속되고 있다. 보사부를 비롯한 정부관계기관은 이에 따라 휴업사태로 야기되는 의료 공백을 메우기 위해 26일부터 서울 등 해당지역의 모든 병·의원과 보건소를 24시간 문을 열게 하고 약사회 간부와 시. 도 지부장 등을 상대로 설득작업을 펴고있으나 특히 서울시지부산하 분 회장과 회원들의 반발이 강경해 이날 상오 현재 별다른 설득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6.7면〉
◇휴업=서울. 전남을 비롯한 일부 시. 도내 약국들은 대부분 『보사부당국의 불합리한 의료보험 제도 시행으로 주민보건을 위한 약국업무를 더 이상 수행할 수 없다』며 26일 상오부터 문을 닫았다.
서울의 경우 5천6백13개 약국 중 26일 상오까지 문을 연 곳은 5 백99개소에 지나지 않았으며 전남도내 1천3백40개 약국들은 거의 휴업상태다.
대한약사회회장단은 25일 밤 보사부와의·심야회의 끝에 휴업결의를 7윌1일까지 일단 보류키로 합의, 회원들을 설득했으나 서울·전남 등 일부 시·도 회원들은 약사회 측의 요구에 대한 보사부 측의 확실한 약속 없는 휴업보류는 받아들일 수 없다며 휴업강행으로 맞서고있다.
약사회원들은▲회장단의 합의는 회원들의 의사와는 관계없는 명분 없는 양보이며▲대의원총회의 결의를 일부 시· 도 지부장 회의에서 번복하는 것은 월권이라며 집행부의 태도를 비판, 계속 「강제분업」 의 보장을 보사부에 요구하고 있다. 약사회 집행부는 휴업을 결의한 대의원총회의 결의가 상황의 변동이 있을 때까지라는 조건이 붙어있었으므로 회장단의 합의는 생활의 변화에 따라 지부장회의에서 수정 할 수 있는 것이라고 해명하고 일부강경파회원들의 반발이 있으나 곧 정상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