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강경파에 말조심 당부 북엔 에너지 등 중대지원 약속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6자회담 재개는 북한과 미국의 최종 합의 형식으로 발표됐다. 하지만 이번의 경우 우리 정부가 나름대로 촉진제 역할을 한 측면이 있다는 것이 정부 측의 설명이다. 미국 내 강경론 해소와 북한 다독이기에 일정 부분 성과가 있었다는 주장이다.

미국 내 강경론 해소를 위한 정부의 첫 주도적 조치는 지난해 11월 13일 LA에서 시작됐다. 노무현 대통령은 미 국제문제협의회(WAC) 초청 오찬에서 대북 무력 사용, 봉쇄, 붕괴 정책 등의 미국 내 강경론에 쐐기를 박았다.

지난달 20일 폴라 도브리안스키 미 국무부 차관이 '폭정의 전초기지'를 언급한 직후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 등이 나서 말조심을 당부하는 경고를 보내기도 했다. 한 당국자는 "우리의 조치에 대해 북측도 비공식 통로를 통해 사의를 표명해 왔다"고 전했다.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언급한 중대 제안 등을 통한 북한 유인은 정부의 또 다른 노력이다.

정부는 이와 함께 북한의 의구심 해소에도 주력해 왔다. 북한은 자신의 모든 핵을 폐기해야 관련국들이 보상 절차에 들어갈 것이란 의심을 거두지 않고 있다. 정부는 그러나 북한이 핵 폐기를 선언하면 바로 경제.에너지 지원에 나서고 잠정적인 안전 보장도 제공할 것임을 누차 확인해 줬다는 전언이다.

이정민.박신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