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책임소재 규명 촉구|국회 특조위 구성안 부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국회농수산위는 9일하오 고건농수산장관과 김주호조달청장을 출석시킨 가운데 철야회의를 열어 미국산 쌀도입에 따른 6백만달러 뇌물수수설과 관련한 정부측의 보고를 듣고 질의를 벌였다. <요지2면>
농수산위는 또 스캔들의 진상을 조사하기 위한 국회특조위를 구성하자는 야당측 동의를 표결에 붙여 13대 12로 부결시켰다.
그러나 민한당·국민당은 이와 별도로 국정조사권의 발동을 요구할 움직임이어서 미국산 쌀도입 스캔들은 계속 문제될 것 같다.
이날 고건농수산장관은 『쌀 스캔들은 미국내에 있는 곡물 메이저 상호간의 치열한 판매경쟁으로 발생한 것으로 보도 내용은 사실 무근』이라고 말했다.
고장관은 또 『이문제에 대한 미 곡물 메이저의 장난에 너무 말려들어서도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진상해명을 위해 자진출두한 김주호조달청장은 이번 스캔들은 79년 이전까지 대한 쌀수출에 독점권을 행사하다시피한 미 코널사가 우리측과 2O만t의 쌀공급계약을 맺은 PIRM사를 탈락시켜 대한쌀수출의 독점체제를 재구축하기위해 의도적으로 날조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김청장은 PIRM사와 계약한 것 중 남부미 20만t의 쌀 중 13만t은 t당 4백49달러90센트로 선적이 완료됐고 나머지 7만t에 대해서는 82년도 시장가격으로 재조정협상을 벌이기로 했다면서 계약취소및 경신은 사실이 아니라고 말했다.
그러나 김진배·오상현·지정도·안건일(이상 민한) 김영광(국민) 노태극(의정)의원등 야당의원들은 ▲정부의 실추된 명예회복을 위해서도 사건의 진상과 책임소재를 철저히 규명하고 ▲국제재판소에 제소하며 ▲정부 스스로가 국희에 특별조사위를 구성해 주도록 자청해야 할 것을 요구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