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쌓인 일부업계 불황극복 비상작전|종업원 유급유가늘려|연말휴가도 길게잡아|월급 60%지급 내년 1월말까지 놀리는회사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1면

자동차공장들이 물건은 안팔리고 재고가 쌓이자 일시귀휴(일시귀휴)등 비상대책을 강구하기 시작했다. 일부공장에서는 조업단축의 일환으로 월급을 주면서 종업원들에게 귀가조치(유급귀휴조치)를 하기로 결정했는가하면 연말·연시 공휴일을 길게 잡기로한 회사도 있다.
종업윈수가 일정수준이하로 떨어질때까지 신규채용을 동결키로한 회사도있다.
오토바이 생산공장인 대림공업의 창원공장은 종업원이 6백여명에 달하고 있는데 제품재고가 쌓여 12월부터 내년1월까지 봉급의 60%만을 지급하고 종업원3백여명을 임시로 집에 돌려보내기로 했다. 인건비 부담과 제품재고를 줄임으로써 적자요인을 극소화하기위한 것이다.
지난해에 이어 계속 경영수지가 악화되고있는 자동차 업계도 임시대책을 마련했다.
현대자동차는 40%의 저조한 가동률에도 불구하고 6천대의 완성차재고가 쌓여 더이상 야적장에 빈자리가 없게되자 생산량을 조절키로하고 7천여명의 공장종업원들에게 연말·연시 공휴일을 예년보다 늘려주기로했다.
예년에는 연말까지 일을 시키고 법정 연초휴가만을 주었으나 올해에는 연말휴가를 4∼5일 앞당기고 연초휴가도 늘리기로했다.
새한자동차는 한때 종업윈이 최고8천8백명에 달했고 지난해부터 자연감소 인원에 대해서늑 충원을 보류, 현재는 6천5백여명에 달하고 있으나 5천5백명선으로 줄어들때까지 계속 충원을 않기로했다.
올해 특히 고전하고있는 시멘트·산업기계·펄프·제당·조미료·악기업계등도 조업단축이 불가피한 실정인데 회사체면상 계속 공장을 돌리고 남는 일손을 잡무정리등에 활용하고있다.
큰회사들은 아직은 노조와의 협약, 회사체면 때문에 인원정리에 손을 대지않고 있으나 내년에도 불황이 풀리지 앉을경우 일시귀휴방법등에 의한 인원정리가 불가피하다고 보고있다.

<노동부방침에 위배 근로감독 통해 시정>
노동부당국자
이에대해 노동부측에서는『고용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하는것이 노동부의 기본입장이다. 경기침체로 일거리가 없다하더라도 조업단축이나 근무일수를 줄이는 방법으로 근로자들을 보호하도록 하는한편 직접적인 감원이나 귀향조치등의 사례를 파악, 철저한 근로감독을 통해 바로 잡겠다』고 밝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