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진출 빠르나 정서·신체발달에 문제|충분한 연구후 단개별로 연령을 낮춰야 학제|대입전형 수험생에 선택기회 최대한 부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학제개편>
취학연령을 5세로로 낮출 경우 조기교육을 의무화하고 교육인력의 사회진출을 1년 앞당기는 효과가 기대된다.
그러나 어린이들의 지적수준 향상으로 5세에 이르면 국민학교 과정을 시작할수는 있더라도 정서나 신체발달면에서는 상당한 문제가 있을것으로 보인다.
연령에 따른 인간의 발달단계에서 볼때 정서적으 로 가장 예민한 시기를 다인수의 과밀학급에 꼭 편입시킬 필요가 있느냐는 충분한 검토가 있어야할 것같다. 세계적으로도 초등교육을 5세부터 시작하는나라는 영국을 재외하면 그예가 많지않다.
뿐만 아니라 취학연령이 5세로 낮추어지는 첫해엔 만5세와 6세 어린이가 한꺼번에 입학하게돼 수용능력에도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규호장관도 밝혔지만 이를 시행하기 위해서는 3∼4년이상의 충분한 연구가 있은뒤 취학연령도 단계별로 낮추어 나가야할것으로 지적된다.
또 기간학제는 그대로 둔채 방계학제를 강화, 인문교육과 직업교육간의 교류를 자유롭게 하겠다는 방침은 한세대이상 계속돼오면서 경직된 현행 학제에 대한 반성으로부터 나온것으로 보인다.
학제의 특속에서 한번 기회를 놓치면 고교때부터 직업·인문교육이 완전히 구분되고 그 틀에 얽매어 일생을 보내야하는 제도는 고쳐져야하기 때문이다.

<▲대인전형방법>
4개시안을 놓고 진통을 겪어온 문교부가 제2안을 주축으로 보완키로 한것은 수험생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선택기회를 보장하면서 대학축의 체면을 어느정도 세워줄수있기 때문인것으로 보인다.
제2안은 컴퓨터 배정이나 전· 중· 후기면접인 만큼은 선택폭이 넓지 않지만 1개대학지원 안보다는 융통성이있고, 1개대학지원 안에서 예상되는 재수현상을 극소화할수 있다.
그러나 이 안은 허수경쟁에 따른 정원미달의 소지를 그대로 안고 있다. 이를 줄이기위해 문교부는사실상의 중기를 두어 정원미달대학이 추가모집을 할수 있는 기회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그럴경우 특정대학 합격자 유동이 예상되고, 혼란이생길 것으로 보인다.
허수에 의한 정원미달을 줄이기 위해서는 오히려 원천적 처방이 필요할 것같다. 예컨대 고교에서 제2지원대학은 원서에 표시를 하도록하고 마감후 각 대학이 제2지원자를 발표토록하는 방안도 생각해 볼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