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간 신뢰조성 위한 교류·평화정착 등 3개항 의제 설정 제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김수석대표는 지난 4일 접촉에서 남북 총리간 대화의제를 실무대표 접촉에서 확실히 마련해야 한다는 합의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개항의 남북 총리회담 의제를 설정하자고 제의했다.
▲의제 제1항=남북간 상호신뢰 조성문제. ①남북간 상호교류와 협력의 실시로 상호신뢰와 이해의 바탕을 마련하고 민족적 동질성을 회복하는 문제 ②분단으로 인한 인도적 고통을 경감하고 불편을 덜어주는 문제
▲의제 제2항=한반도의 평화정착 문제.
▲의제 제3항=조국의 평화통일 문제.
김수석대표는 의제설정과 관련해 분단조국의 펑화적 통일을 위한 남북 쌍방의 공동 노력은 반드시 지난 35년간 계속되어온 분단의 역사적 현실 위에서 남북의 책임있는 당국간의 대화를 통해 전개돼야 하고 분단조국의 평화적 통일을 위한 남북쌍방의 공동노력은 조국의 분단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소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일련의 점진적인 조치를 통해 통일의 여건이 개선되어 나가는 과정으로서의 통일을 추구해야 하며 남북 총리회담의 의제를 선정함에 있어서 상호 상대방의 내정사항에 간섭하는 제안이나 항목의 선정은 배제되어야 한다는 원칙이 고려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대표는 의제를 제안하면서 남북 총리간 대화의 호칭을 남북 총리회담으로 통일할 것을정식으로 제안했다.
4차 접촉에는 지난 세 차례의 접촉 때와 같이 우리측에서 김영주수석대표와 정종식·이동복대표가, 북한측에서 현준극수석대표와 백준혁·임춘길대표가 각각 참석했다. 이에 대해 북한측은 총리회담의 의제로 『북과 남이 각 분야에 걸쳐 합작하고 단결하여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촉진시키는데 대하여』라고 내놨는데 북한측은 이 의제 중 「합작」이라는 용어에 대해 우리측에서「협력」이라고 사용해도 무방하다고 설명했다. 김영주수석대표는『이같은 제의는 의제라기보다는 총리회담의 목적을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하고 『의제는 구체적으로 토의될 수 있도록 합리적인 순서와 완급에 따라 회담의 성과를 기약할 수 있는 방향으로 정하자』고 반대의사를 표명했다.
양측 대표들은 상호간에 내놓은 의제를 좀더 연구 검토한 뒤 5차 회의에서 논의키로 양해했다.
한편 우리측이 제안한 4가지 절차문제에 대해 북한측은 원칙적인 동의를 표명했으나『문구표현상 조정이 있어야 한다』고 이의를 제기해 이동복대표와 북측 임춘길대표가 차후 적절한 시기에 만나 문장을 다듬기로 했다.
김수석대표는 의제 제안에 앞서 쌍방 총리간 대화의 호칭을 남북총리회담으로 통일하자고 제의했고 북한측은 이에 찬동하지 않고 계속해서「상봉」「접촉」이라고 호칭하겠다면서 상호 각기 편리한대로 하자고 난색을 표시, 다음 접촉에서 재론하기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