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900년의 신비 … 고려 나전경함 일본서 돌아왔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5면

고려 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모란당초무늬 나전경함이 15일 서울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처음 공개됐다. 짙은 갈색에 다양한 무늬가 별처럼 빛난다. 기품있는 형태가 아름다우며 보존상태도 좋다. [신인섭 기자, 국립중앙박물관]

덮고 있던 보자기를 젖히자 900년 세월을 견뎌온 짙은 갈색 상자가 모습을 드러냈다. 뚜껑과 몸통을 촘촘하게 장식한 모란당초무늬가 별처럼 은은하게 빛났다. 15일 오전 서울 서빙고로 국립중앙박물관(이하 국박) 제2강의실. 전 세계에 9점뿐인 고려 나전경함(螺鈿經函) 중 하나가 처음 고향에 돌아와 자태를 선보인 순간, 귀한 손님을 맞는 국박 관계자들은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김영나 관장은 “청자(靑磁), 불화(佛畵)와 더불어 고려 미술을 대표하는 나전칠기가 국내에 한 점도 없었는데 이렇게 상태가 좋은 나전경함이 들어와 기쁘다”고 인사했다. 김 관장은 “국외 소재 우리 문화재의 환수에 대한 국민 관심이 높아진 요즘, 국립중앙박물관회 노력으로 국보급 문화재를 기증받게 됐다”고 감사한 마음을 표했다.

 “유물을 본 순간, 그 감격을 어찌….” 신성수(62·고려산업 회장) 국립중앙박물관회(이하 박물관회) 컬렉션위원회 위원장은 말을 잇지 못했다. 지난 해 가을부터 고려 나전경함 상태를 조사하려 여러 번 일본 교토를 오가며 공을 들인 신 위원장은 “반드시 한국으로 가져와야겠다고 결심했다”며 어려웠던 환수 과정을 설명했다.

① 9개 잎을 섬세하게 표현한 모란당초무늬의 세부. ② 점이나 원을 꿰맨 듯 연결시켜 만든 연주문을 확대한 모습. ③ 삼의 잎 무늬를 드러낸 마엽문. [신인섭 기자, 국립중앙박물관]

 세계 9번째 고려 나전경함은 2010년 11월 일본 주니치(中日)신문 보도로 알려졌다. 수집가이자 은퇴 고미술상인 일본인이 소장자였다. 매매 생각도 없고 국외 반출도 안 하겠다는 그를 한국 박물관이 꼭 소장해야하는 유물임을 들어 설득했다. 6~7년 전 일본 내 경매에서 구입했다는 나전경함 가격은 고려불화 수준으로 알려졌으며 대략 30억 원으로 추정된다. 국박 1년 유물 구입 예산이 근래 더 줄어 30억 원이 채 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박물관회 도움이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다. 회원 3000여 명이 활동하는 사단법인 박물관회(회장 김정태)와 그중 젊은 회원 70여 명이 따로 모인 ‘박물관의 젊은 친구들(YFM)’은 국박을 후원하는 모임이다. 유물 기증, 자선 경매, 학술 활동, 국제 교류 등으로 우리 문화재를 널리 알리는 데 힘쓰고 있다. 박물관회 회원들은 이번 쾌거에 고무돼 연말까지 한 점 더 사서 기증하자는 분위기라고 신 위원장은 전했다.

 지난 5월 23일 국박 수장고에 들어와 이날 기증식을 열며 언론에 공개된 고려 나전경함은 높이 22.6㎝, 폭 41.9X20.0㎝ 크기에 무게 2.53㎏으로 아담하면서도 기품 있는 모양새를 하고 있다. 뚜껑 윗부분의 네 모서리를 둥글게 모죽임한 장방형으로 원만한 부드러움을 자랑한다. 특히 경함을 장식하고 있는 주 무늬인 모란당초(牡丹唐草) 무늬 외에 마엽(麻葉) 무늬, 귀갑(龜甲) 무늬, 연주(連珠) 무늬가 잘 어우러져 걸작의 기품을 풍긴다.

 이건무(67·도광문화 포럼 대표) 전 국박 관장은 “일본 키타무라(北村) 미술관 소장품보다 모란당초무늬 완성도가 높고 보존 상태가 좋다”며 “불교국가에서 최고의 기술을 동원해 신앙의 힘으로 만들었기에 비교할 수 없는 최상의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이용희 국박 보존과학실 부장은 “나전 조각만 2만5000개 이상 섬세하게 붙인 고된 작업의 산물로 이렇게 다양한 무늬를 지닌 나전칠기를 보게 된 건 영광”이라고 했다. 국박은 앞으로 세밀한 조사 연구를 거친 뒤 국보(國寶) 지정 등 유물등록절차를 밟아 이른 시일 안에 상설전시실에서 관람객을 맞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글=정재숙 문화전문기자
사진=신인섭 기자

◆고려 나전경함=경함(經函)은 불교 경전을 담는 용도로 제작된 함이다. 1231년 몽고에 침략당한 고려에서는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대장경(大藏經)을 만들었고 이를 보관하는 경함이 대량으로 제작됐을 것으로 보인다. 나전(螺鈿)은 당나라 때 시작돼 고려 시대에 동아시아 최고 수준을 일궜다. 나전칠기는 나무로 기물을 만든 뒤 굵은 삼베를 바르고 그 위에 자개를 붙인 후 옻칠을 덧입혀 반반하게 만들었다. 고려 시대 것이 주름질이 정교하고 치밀하며 다양한 색채를 쓰고 금속선을 병행해 가장 화려하면서도 우아한 유물로 꼽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