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이 손잡고 문화재 복원에 전력|서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본=이근량특파원】서독에서 고 미술품의 대규모 복원기구가 서서히 등장, 문화재보호에 혁신적인 계기를 맞게되었다.
박물관 또는 민간에게 문화재복원사업을 의존하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공공성 있는 복원기구에 일임하겠다는 것이 서독의 특이한 현상이다.
이 같은 정책의 일환으로 「미술품보관연구소」가 이미 몇 년 전에 설립된 데 이어 최근엔 「뒤셀도르프」복원「센터」와「도르트문트」「보빙하우젠」「촐러른」연구원이 창설, 본격적인 복원사업을 눈앞에 두고 있다.
특히 이 같은 공공 복원기구가 민간기업의 출연으로 창설되었다는 점에서 평가는 더욱 두드러진다. 「미술품보관연구소」를 도자기「메이커」인 「헨켈」사가 출연한 것이며 이번에 창설된 2개의 복원기구는 모두 자동차「메이커」「폴크스바겐」사의 자금으로 햇빛을 보게된 것이다.
독일의 문화재복원운동은 벌써 3백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현재 「베를린」과 「뮌헨」에 복원전문학교가 있다.
현재 서독전역에 걸쳐 활약중인 복원사는 2천여명, 이들은 모두 전문학교를 거쳐 상공회의소 주관의 시험에 합격한 유자격자이기 때문에 이들의 실력은 「유럽」에서는 평가가 높다.
복원사의 업무는 고건물·골동품·조각미술품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망라된다. 그러나 그들의 영역이 파손된 문화재의 복원만 아니라 파손방지까지 넓혀나간다는 게 특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