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 가전서 질 땐 아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국력신장을 과시한데다 국제스포츠무대에서 한국의 인식을 새롭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자부심을 느낀다.』 아시아에서는 처음으로 제8회 세계여자농구선수권대회를 한국서 개최한 이병희 조직위원장(53·대한농구협회장)은 대단원의 막을 내리게되면서 겹친 피로로 안색마저 꺼칠하다.
『첫 게임에서 캐나다에 크게 패할 땐 아득한 생각마저 들었으나 선수들이 강인한 정신력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입상권에 들어 피로도 가시는 듯하다』며 이 조직위원장은 아쉬움과 안도의 한숨을 쉰다.
이 위원장은 이번 대회를 통해 서구선수들의 기량이 크게 발전한데 놀랐다면서 한국은 그동안 『우물안 개구리』였음을 솔직이 시인, 앞으로 훈련방법 개선과 전지훈련 등 획기적인 방안을 수립해 80년 모스크바·올림픽에 대처하겠다고 다짐한다.
한편 항간에 나돈 심판들의 한국성향문제에 대해 『심판배정은 공산권 유고에서 온 스텐코비치 국제농구연맹 사무총장이 전권을 쥐고 있다. 다만 주최국이라는 점에서 한국에 불리한 판정을 내리지 않는 것은 외국서 온 국제심판들의 에티켓이다』라며 과거 국제대회에서 한국은 엄청나게 부당한 판정을 당한 적이 여러차례 있었지만 이번 대회는 비교적 공정한 대회로 보고있다고 설명한다.
이 위원장은 지난 63년이래 16년동안 대한농구협회를 이끌어왔는데 그동안 아시아농구연맹(ABC) 회장과 국제농구연맹(FIBA) 부회장직마저 맡아오는 등 정치일과 함께 늘 분주하다. <이민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