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해도 동반하는 공장지방 분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정부가 농어촌 주민의 소득증대와 유휴 노동력 흡수, 시·군 등 지방자치 단체의 세원 확보를 위해 각종 소규모 공장을 벽지 농어촌에까지 대거 유치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사후관리가 소홀하여 심한 공해오염물을 배출하는 등 부작용을 불러 일으키고 있다. 특히 새마을공장은 상공부가 내무·보사부 등 관계부처와의 협의로 지정, 취득세와 재산세 등을 일정기간 면세혜택 받고 있으면서도 산간·계곡에 세운 많은 공해 공장들이 공해방지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아 지금까지 공해를 모르고 살아온 주민들에게 공해「쇼크」를 주고있다.
이러한 실정인데도 군청에는 공해관계 전문 공무원이나 측정기조차 없을뿐더러 충북도의 연간 공해 측정 예산이 30만원에 불과하는 등 공해방지 업무의 공백 상태를 드러내고 있다.
10일 본사 전국 취재망에 따르면 농촌지역은 심한 폐수 오염으로 농작물 피해가 많아 농민들이·반상회를 통해 당국에 진정하는 사태까지 빚고 있으나 여전한 실정이라는 것.
경남도의 경우 공해규제 대상 업소는 2백10개소로 그중 19개 공장이 폐수·매연·소음·악취 등을 마구 배출하고 있다. 도내 K애자에서는 악취를 뿜어 속칭「두척」계곡의 유원지를 망쳐놓았다고 주민들은 말했다.
경기도는 1백90개 새마을 공장 가운데 13%인 26개소가 공해오염물을 배출하고 있으며 석유·피혁·지류 업체가 가장 심하다는 것.
화성군의 경우 차성제지 등 11개 업소가 폐수 업소이며 특히 평택군의 삼창「펌프」공장은 심한 폐수를 배출, 농작물 피해가 많아 농민들과 시비가 벌어지고 있다는 것.
수원시 원천동286일대 48가구 주민들은 근처 B엿공장과 T화학 공장 등에서 폐수를 배출, 우물물이 오염돼 1km떨어진 원천저수지 퇴수구에서 식수를 길어 쓰고 있다.
시흥군은 1백97개 공장에서 폐수·유독매연 등을 배출, 벼·포도 등 과수농사에까지 타격을 주고 있어 주민들이 진정을 하고있다.
부천시 오정동 B상사는 75년12월 새마을 공장으로 지정받아 가죽 제품을 만들고 있으나 공해방지 시설미비로 검붉은 폐수를 길이 2km·폭2m의 배수로를 통해 배출, 벼 발육 등 농사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것.
참다 못한 주민들이 지난 3월 반상회를 통해 당국에 진정하기도 했다.
충남도는 1천1백40개 공장 가운데 50%인 7백88개소가 공해 대상 업소로 이들 공장 가운데는 운영비 절감·기계노후 등으로 공해를 제거하지 못하고 있으며 도의 공해도 측정이 1년에 3백여개소 밖에 되지 못해 3년에 한번 꼴로 측정을 하고있는 실정.
경북도의 경우 새마을 공장 93개소 등 7백여 영세공장이 산간벽지에 산재해 있으나 올 들어서는 공해도 조사도 하지 못했고 다만 주민들의 진정에 따라 단속을 펴고있는 상태.
충북도는 6백68개 공장의 74%인 4백96개소가 공해 규제업소이나 공해 측정 등의 연간 예산이 통틀어 30만원 밖에 되지 않고 전담 부서인 군 위생계에 전문 공무원과 측정기도 없어 업무 수행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