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인간의 성실성·진실성 담아 눈길끈 수작들|강한 박진감 주는 인간회복의 절규 김규덕 작『축제』|현실을 초월하려는 몸짓 김승희 작『시계 풀의 선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대담>
조승식<문학평론가>
이승훈<시인>
조=우리가 시에서 얻을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요?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궁극적인 것은 인간의 성실과 진실성이 아닐까요. 진실성이 절박할수록 독자가 느끼는 미적 풍족 감도 그만큼 절실하리라 믿습니다. 이 달의 문제 작품들이 모두 진실성이 가득히 괸 것들이라 더욱 풍요 감을 주는 듯 하군요.
이=김춘수·김광림·신동집·허영자·황동규·조병철·강태열·김계덕·김승희씨등의 작품들이 이 달에 두드러지게 돋보인 시들인 것 같은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조=동감입니다. 특히 김춘수씨는 신작시집(문학사상·『앵초』외 6편)과『해파리』외 2편(세계의 문학)등 모두 10편을 발표해 관심을 모으고 있습니다. 김씨는 그 동안 한국시의 지적 측면을 매우 성실하게 대표해 온 시인으로 김씨의 훌륭한 작업은 매우 반가운 일입니다.
이=김씨가 지금까지 보인 시의 세계, 즉 실존의「리듬」을 거의 절망적으로 노래한다거나(『처용 단장』등) 인간의 근원을 무의식의 측면으로 상징한다 든 가(『이중섭』「시리즈」등)했는데 이 달에 발표한 일련의 작품에선 생의 미지의 원형을 갈망하면서 정착시키려는 노력이 보였어요. 김씨의 시를 읽으면 인식을 통해 삶의 한 원형을 얼마나 아프게 그리워하고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느낄 수가 있어요.
김광림씨 역시 한국시의 지적측면을 반영해 온 시인인데 이 달에 발표한『시로 써 본 시인 전』(현대문학)은 신 사실주의적 접근이라는 명제에 집착하고 있는 듯해요.
조=그러면서도 관념의 묘사로 일관하고 있는데 정한모·전봉건·신동집씨 등 현존 시인들의「이미지」를 구현하고 있어요.『시로 써 본 시인 전』은 어쩌면 씨가 닿으려는 인식의 세계에 좀더 명료하게 도달하기 위해 행하는「트레이닝」의 일부같이 느껴집니다.
이=간결하게 의미를「이미지」에 담는 씨의 특성이 다시 드러난 것이지요.
조=신동집씨의『근작삼제』(한국문학)중『꽃 양산』은 시간과 공간의 대차현상에서 보여지는 한 순간을 원근법으로 조립하고 있어요.『나의 꽃들』『앞서가던 사람』그리고『「마네킹」의 콧등』등에선 조직적인 불안이 암시되고 있어 더 큰 자극을 주고 있어요.
이=허영자씨의『뻐꾸기 타령』(현대문학)은 우리의 전통 속에서 사물을 인식하려는 허씨 특유의「이미지」가 다시 부각돼 있습니다. 전통이란 개성보다는 보편성이 강조되면서 한시대의 고뇌가 너무 안이하게 처리되는 약점이 있는데 허씨는 이러한 위험을 아슬아슬하게 피하고 있지요.
조=말하자면 시적 지성이 증발하고 감정만이 남게 되는 그러한 위기를 허씨는 언어의 절제를 통해 잘 극복하고 있다는 얘기지요. 황동규씨의『불끈 기차』(현대문학)도 이와 비슷한 「이미지」를 주고 있는데 다만 황씨는 우리의 현실을 인상적인 대화체로 처리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지요. 조병철씨의『하나에서 여섯까지』(문학사상)는 큰 의미를 의도적으로 강조하지 않으면서도 깊은 애상을 느끼게 하는 묘한 감정을 주고 있는 것 같아요.
이=이것이 조씨의 특유한 매력일 것입니다. 쉽게 얽히면서도 때로 강렬한 충격을 주는 힘이 있어요.
조=강태열씨의『사람소리』(한국문학)는 은유의 농도가 대단해요. 그래서 그만큼 의미도 깊고 다양 하구요. 김규덕씨의『축제』(시문학)는 한없는 인간회복의 절규가 스며 있어요. 이것이 저항의 힘살로 뻗어 힘찬 박진감을 주고 있어요.
이=김승희씨의『시계 풀의 선신』(문학사상)은 지나치게 반 전통의 측면을 드러내 허영자씨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어요. 친서구성이라 할 수 있는 인식의 세계가 전개되는데 환상적이고 무의식적인 상상의 세계가 주제를 이룹니다. 김씨의 이 상상력은 답답한 현실을 초월하려는 몸짓의 다른 이름이기도 할 것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