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읽히게 쓰는 재주」는 시인의 제일 큰 무기다|대담 전봉건(시인)-오규원(시인)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김=시를 읽으면서 우리는 늘 시인의 재능과 재주에 대하여 생각하게 됩니다. 이 달의 시를 읽으면서 문득 시인으로서의 선천적인 재능에 못지 않게 재주가 중요하다고 느꼈는데요. 시를 시로서 존재하게 하자면 무엇보다 재주가 그 기동이 되어야지 않겠는가 하는 것이지요. 신동집씨의 『수모』(현대문학)와 황동규씨의 『사랑 혹은 우리』(문학사상)는 재주가 들어있는 시로 보았는데요.
오=섣부른 기교와는 비교되는 재주여야 할 것 같아요. 『사랑 혹은 우리』는 황씨의 종전작품에 견주어 볼 때 잘 읽히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요. 종전보다 관념의 응어리가 풀어지고 그 대신 사랑이 스며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대체로 황씨의 시를 한 개인의 것이라기보다 우리가 살고있는 시대를 압박하는 요소로서의 관념을 강조해 왔거든요. 따라서 그 관념이 시보다 더 강하게 우리를 압도하고 했습니다.
전=『사랑 혹은 우리』는 확실히 기교보다는 재주가 앞서있는 시라고 할 수 있지요. 『울타리 위로/네다리 스치듯 뜨고/꼬리털이 떨고/안개가 울타리 너머로 넘쳐 내린다』는 대목에서의 재주는 바로「카메라」의 눈과 같은 것이지요. 물론 이 시는 『오늘의 시대가 어떤 시대인가』라는 문제에 대해 누구나 짐작할 수 있도록 주제를 강하게 살려 놓고 있기는 하지만 시를 시로서 있게 하는 것, 시를 시로서 읽히게 하는 것은 그와 같은 주제가 아니라 재주, 바로 그것이 아닌가 해요.
오=이 시대의 모습을 어떻게 표현하느냐는 것은 시인 개개인의 문제겠지요.
대다수의 시인들은 이러한 시대정신을 외면하고있다고 생각되는데요. 가령 신인들의 동인인 「반시」가 주장하는『다수의 삶이 누려야할 당연성을 옹호한다』는 「캐치·프레이즈」는 그 때문에 더 주목이 갑니다.
다만 이들의 이 같은 주장은 이 시대에 유행하는 강박관념의 소산이 아니어야하며 또 도식화된 사고의 산물이 아니어야겠지만 말입니다.
전=현실에 대한 관념이건 시작에 있어서의 재주건 시인에게는 항상 새로운 시도가 필요하겠지요.
신동집씨의『수모』를 읽으면서 처음에는 어디선가 이미 보고 듣고 하였던 산문들의 덤덤한 얘기 같아 이런 것도 과연 시일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가졌어요. 그러나 이 시의 마지막부분을 이루는『버릴 건 웬만치 버려도 보았으니/뜨겁고 시린 미는 보라/아침노을의 짙은/수모 속에 일어선다』는 4행이 그 생각을 뒤엎어 버리더군요. 이 4행에 충전된 강력한「시가 그 앞의 별로 취함 바 없는 13행의 산문을 일거에 시로 화하게 하고 있습니다. 이런 것은 효과를 잘 계산한 재주의 문제일 수밖에 없는 것이지요.
오=승려시인 석지현씨의 『만남』(월간중앙)과 이동순씨의 『차단기』(심상)도 관심 있게 읽었습니다.
선시의 분위기를 추구해온 석씨는 이 시에서 선시의 맛을 제법 짭짤하게 풍기고 있으며『차단기』는 차단된 현실의, 단면을 일정한 사물에 부각시켜 놓은 좋은 작품이었어요.
마지막으로「현대시학」의 『신예여류10인 집』중 김승희·김옥영·천재순 등 3 여류시인의 특가 주목되더군요. 김승희씨는 한국인의 매우 약한 관념언어의 세계를 자기 나름대로 훌륭하게 소화하고 있으며 김옥영씨는 앞의 김씨와 대조적으로 아주 일상적인 사물을 동원하여 우리의 현실과 이상이 어떤 괴리감 속에서 공존, 성립하고 있는가에 대한 날카로운 관찰을 보여주고 있어요. 천씨의 시는 동화적·혹은 우화적 공간 속에 있는데 단조로운 흠이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