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합성섬유의 대전방지제 개발-한국과학원 최삼권 박사, 미·일에 이어 3번째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오늘날 널리 쓰이고 있는 합성섬유와 같은 가소성수지는 높은 대전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가벼운 마찰에 의해서도 쉽게 정전기를 일으켜 인체에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작업능률을 저하시키고 화재·폭발 등 재난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정전기의 발생과 축적을 영구적으로 방지하는 새로운 방법이 미국·일본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최근 한국과학원 최삼권 박사(48·고분자화학)에 의해 개발됐다.
합성섬유가 면·양모·인견 등 천연섬유에 비해 정전기 발생률이 높은 것은 그 분자에 친수성기가 없어 흡습성, 즉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섬유별 습기함유량은 면이 8%, 인견 12%인데 비해 「나일론」4%, 「아크릴」섬유 1%, 「폴리에스터」섬유는 0·4%에 불과해 전기를 띤 먼지나 입자가 섬유표면에 부착하면 정전기가 누적되고 다시 마찰에 의해 방전하면서 『찍찍』소리를 내게 된다. 그러나 이런 합성섬유에 흡습성이 큰 화합물이나 유기 전해질을 화학적 방법으로 도입하면 이런 정전입자들이 축적되지 않고 누전 되므로 방전을 막을 수 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뒤퐁」·「몬산토」, 일본의 「도오레이」사에서 이미 이 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그「프로세스」는 「베일」에 싸여있기 때문에 이제까지 우리나라나 대부분의 선진국가에서도 대전방지제를 후처리에 의해 물리적으로 천에 흡착시켜왔다.
그러나 이 방법은 세탁을 할수록 효과가 감소되는 결점이 있었던 것.
최 박사는 『이 분야의 연구는 그 내용을 공개하지 않는 것이 국제적인 통례』라면서 자신이 합성해낸 대전방지제를 「나일론」이 가지고 있는 말단기와 여러 가지 비율로 축함시켜 고유 저항이 108-l08ℓ/㎝(국제규격 1010 ℓ/㎝이하) 인 「나일론」사를 개발하게 되었다고 밝혔다.
최 박사는 또 분자량이 2만4천 정도인 「폴리에스터」(PE)에 대해서는 분자량이 「나일론」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분자량 5백정도의 대전방지제를 결합시키는 일이 힘들어 그 누구도 아직 만족할만한 성과는 없으나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섬유와 함께 2년 이내에 국내에서 개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이렇게 되면 PE만으로 된 질기고 촉감이 좋은 새로운 섬유가 각광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