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공개심사로 일반에 참여의식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금년의 「봄 국전」을 앞두고 문공부는 최근 4대째의 국전운영위원을 위촉하고 19일 하오에 첫 운영위원회를 가졌다. 이번 위촉된 운영위원 23명은 인선범위를 확대해 거의 전원을 교체했고 그 위원회를 통해 심사기준을 제정하는 한편 국전운영에 관한 전반적인 중요사항을 제기할 수 있게 했다. 이 같은 일들은 국전의 체질을 개선하고 말썽의 소지를 제거할 새로운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인다.
국전제도를 개선, 운영위원회를 신설한 뒤 6년을 겪은 문공부는 우선 그 위원의 선정 기준에서부터 현저한 개선을 엿보이고 있다.
종래의 위원은 『전국초대작가와 예술원회원인 작가』외에 한 두 명의 들러리 격 예술계인사를 참여시켰을 뿐이었다. 그러나 이번에는 운영위원을 3회 연임(임기 2년)하지 못한다고 못 박음으로써 대개 3회 연임해왔던 기존위원전원을 개체했다. 반면에 새로 미협·건협·사협의 대표와 국립현대미술관장을 당연직으로 하는 한편 미술평론가와 국학관계 인사도 아울러 포함시켰다. 이경성 최순우(이상 평론가) 민태식(국학) 제씨가 바로 그런 인사들이다.
이 같은 국전모체의 새 구성에 앞서 문공부는 지난해 국전개혁안을 마련한바 있었다. 그것은 우선 현재의 문공부예술과 소관으로부터 국립현대미술관에 이관시켜 운영케 한다는 것이었으며 그밖에도 세부적 시안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물론 이 안은 잠정적으로 보류된 형편이지만 금년도부터 국전 운영면엔 다소라도 반영이 있을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와 때를 같이하여 미술계에서도 국전의 고질적인 병폐를 제거하자는 색다른 의견이 제기되고 있어서 국전운영 개선에는 훨씬 박차를 가하게 되지 않을까. 물론 그 핵심은 역시「심사」.
누가 어떻게 좋은 작품을 가려낼 것인가에 집중되고 있다.
첫째는 심사위원의 구성 문제다. 종래는 운영위원이 국전 초대작가 중에서만 추천했는데 기왕 운영위원회의 위촉 폭을 넓혔으니 만큼 심사위원 지명폭도 마땅히 넓혀야 하리라는 주장이다.
특히 개개 분과에 따라서는 초대작가수가 심사위원 수도 못돼 딴 분과에서 꾸어다 대치한 예도 있고, 혹은 운영위원이 심사위원을 중임하는 규정 위반사례도 있었다. 그래서 심사위원을 『작가가 아니더라도 미술관계인사로 폭 넓힌다면 종전의 무리가 해소될 뿐더러 전문적인 안목 있는 심사인도 기르게 되고 또 작가끼리의 친분말썽도 자연 덜게 될 것』이라는 것이 양화가 이세득씨의 견해다. 미술평론가 임영방 교수(서울대)는 『서구에서는 미술 평론가·미술전문지 관계자·미술관장 및 작가 등 광범하게 일가견 있는 사람들로 심사위원을 구성하는 게 상식』이라고 소개한다.
둘째는 심사방법. 종래는 심사위원만이 비밀리에 비공개로 작품 심사를 함에 따라 구구한 뒷말과 억측이 나돌았다. 그럴 바에는 터놓고 공개리에 심사한다면 보다 효과적이지 않겠느냐는 제의다. 「상파울루·비엔날레」에 「커미셔너」로 참석한 바 있는 이세득씨는 『저녁 「파티」에 여러 사람이 작품을 감상하고 담소하는 가운데 심사위원들은 어느 결에 투표해 이튿날 집계 발표했다』고 소개하면서 모두 일장일단이 있는 것 같다고 말한다.
물론 공개방법에는 한정된 인사들을 초청해 심사위원과 의견을 나눈다든가, 심사를 지켜보게 하는 등 몇 가지가 있다.
가령 ①「버튼」식의 찬반 표시 방법 ②심사위원 개개인이 점수를 써서 투표하는 방법 ③공개토론을 벌이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양화가 박창돈씨는 『공개방법을 택한다면 심사에 있어 이목이 많으니까 눈치를 덜 보게 되고 만약 공개토론까지 하게 된다면 좋은 작품에 대한 일반의 이해를 향상시키는데도 다소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세째는 이상의 문제들이 특선이상 수상작에 집약된다는 점이다. 임 교수는 명목상의 상 때문에 잡음이 생긴다는 점에서 상 제도의 폐지를 주장하고 있지만 적어도 상 자체의 개선점은 여러모로 제기되고 있다. 4개 국전의 축소, 연4회 특선에 의한 추천작가제의 시정, 초대작가 강화 등이 그것이다. <이종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