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복 없는 중·고 신입생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서울·부산등 대도시 중·고교의 올 신입생들이 입학식을 끝낸 뒤 10여일이 지났는데도 교복구입을 못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은 교복구입을 둘러싼 부조리제거를 위해 금년부터 시교위가 가격과 구입장소를 학교별로 정해 주도록 했는데 이에 따른 절차가 늦어졌기 때문이다.
13일 시내 중·고교관계자들은 교복을 살수 없게 되자 중학신입생들이 국민학교서 입던 자유복을, 고교신입생들은 모양이 다른 교복을 그대로 입고 등교, 교풍과 기율진작이 어려운 형편이라고 말했다.
각시·도 교위의 일괄구입지시가 이처럼 늦어진 것은 지난해 7월 감사원이 교복에 얽힌 부조리적발후문교부가 마련한 교복구입절차가 복잡하고 까다롭기 때문.
문교부의 지시는 ▲교복「메이커」들이 조달청에 교복 가격의 원가계산서 및 산출근거를 제출케하고 ▲조달청은 이를 사정하여 적정가격을 각시·도 교위에 통보 고시하며 ▲일선학교는 이 가격을 근거로하여 시장 가격을 재조사, 가장 값이 싸고 질이 좋은 업체를 지정 계약하거나 공개경쟁입찰에 붙여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서울의 경우 시교위는 6일에야 조달청으로부터 사정가격을 통보받고 이달 말까지 각 학교가 시장조사를 실시, 업자를 선정하되「메이커」측 이윤은 15∼17%만을 허용하라고 지시, 신입생들의 교복구입은 4월이나 될것이라고 전망이다.
한편「메이커」들은 조달청, 사정가격이 실제보다 뒤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혼방의 경우 지난해 여중생 복은 1벌에 9천5백원, 여고생은 1만5백원이었고 올해는 여중생 1만1천원, 여고생 1만1천8백원은 받아야 하나 조달청 가격은 중학생 기준 9천2백15원으로 업자이윤 17%를 가산해도 1만75원이어서 입찰포기「메이커」가 많을 것이라는 것.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