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도 일본 땅 교과서 용납 못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 6일 외교통상부로 초치된 다카노 도시유키 일본대사(왼쪽)가 이태식 차관 옆에 굳은 표정으로 앉아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6일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와 여의도 국회, 파키스탄의 이슬라마바드에선 일본 문제로 시끄러웠다. 외교부는 이태식 차관이 다카노 도시유키(高野紀元) 주한 일본 대사를 불러 교과서 왜곡 등에 대해 강력히 항의했다. 라종일 주일 대사는 이날 일본 외무성을 방문, 독도를 일본영토로 표현한 교과서 검정 결과에 대한 한국 정부의 항의를 전했다.

◆이태식-다카노 설전=외교부 접견실에서 다카노 대사를 맞는 이 차관의 표정은 싸늘했다. 다음은 이규형 외교부 대변인이 전한 대화 요지.

▶이 차관="공민 교과서가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데 대해 심각하게 우려한다. 결코 용납할 수 없다. 삭제하라. 또 공민 교과서 검정 신청본의 내용이 문부과학성의 역할 및 관여로 변경된 것으로 보인 점에 대해 설명해 달라. 독도 영유권을 훼손하는 어떤 도발행위도 용납하지 않고 엄정 대응할 것이다."

▶다카노 대사="교과서 내용은 출판사와 편집자가 결정하며 정부가 지시하지 않는다. 교과서의 독도 기술로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출판사가 독자적으로 결정했다는 설명은 일본 언론의 보도와도 다르다. 정부는 이를 매우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또 독도 관련 기술이 식민지 지배를 정당화할 의도가 없다는 발언에 주목한다."

▶다카노="국가가 검정을 통해 특정한 역사 인식을 확정하는 것이 아니다. '식민지 지배와 침략으로 아시아 국민에게 커다란 손해와 고통을 안겨줬다'는 일본 정부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독도 특별법 검토'=국회 '독도 수호 및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대책 특위'는 김진표 교육부총리 등을 불러 2001년 교과서 왜곡 파문 이후 지금까지 정부 대응의 문제점을 따졌다.

열린우리당 강창일 의원은 "2001년 한.일 정상 간 합의에 따라 한.일 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구성했다"며 "지금 와서 보면 결국 일본의 '생색내기'에 이용당한 것 아니냐"고 했다.

한나라당 이병석 의원은 "독도 문제가 국제분쟁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어느 정도인가"라고 물었다. 이태식 외교부 차관은 "현재 우리 입장에서 국제 분쟁화가 됐다고 보지는 않는다"면서도 "앞으로 (상황이) 악화돼 충돌.불상사가 일어난다면 분쟁 국면으로 갈 수도 있다"고 답했다.

김진표 교육부총리는 보고 자료에서 ▶일본 정부에 역사 인식의 재정립 필요성을 강조하고▶왜곡 교과서 채택을 저지하는 시민운동과 협력하며▶국사교육을 강화하는 작업 등을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날 열린우리당 오영식 원내 대변인은 "한나라당이 내놓은 독도 관련 특별법 제정을 적극 검토키로 했다"고 말했다.

한편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6일 교과서 검정 결과와 독도 문제에 대한 한국의 반발과 관련해 "우리는 상이한 의견과 입장을 갖고 있으나 양국 간 우호라는 더 큰 문제를 고려하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총리 공관에서 기자들에게 "차이가 있다고 해서 대립 측면을 확대하는 것은 좋지 않다"며 자제를 촉구했다.

안성규.김선하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