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 한국에 귀환 후 희망자는 일에 이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동경=박동순 특파원】「사할린」교포송환교섭을 지연시키는 요인이 되었던 송환자 인수방법을 에워싼 한-일간의 의견차이는 최근 한국 측의 타협안을 일본에 제시함으로써 해결의 실마리가 나타났다고 정통한 일본의 관계소식통들이 전했다.
지금까지 한국 측「사할린」한국인이 전쟁 중 일본에 의해 강제 연행된 점을 지적,『귀국희망자 전원을 일본이 인수한 다음 그들 자신이 일본 또는 한국의 거주지를 자유로이 선택, 정착케 해야 한다.』고 주장한데 비해 일본측은『전원을 한국 측이 인수할 것을 보장해야 교섭을 본격화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그러나 이번에 한국 측은 이러한 당초의 태도를 바꾸어『일단 한국 측이 전원을 인수한 다음 한국 내 정착희망자는 한국에 남게 하고 일본정착희망자는 이를 일본측이 적당한 방법에 의해 받아들인다』는 선까지 후퇴, 양국간에 절충이 계속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것은 얼핏보면 결과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듯 하나『전후처리는 이미 끝났다』는 일본측 입장에 배려한 하나의 편법이며 따라서 일본정착희망자의 법적 지위는 전자와 후자의 경우가 달라질 가능성도 있을 것 같다.
다만 한국 측의 타협안에 의해 한국이 일단 전원을 인수한다는 점이 보장되어있기 때문에 일본측이 송환교섭을 본격화하는 소지만은 마련되었다고 볼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