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중동분쟁 불씨 제거의 고육책-미·소의 「팔레스타인국」창설제의 언저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레바논」의 「안·나하르」지가 보도한 미·소간의 「4개 합의사항」은 그후의 움직임으로 봐서 상당히 신빙성이 있는 것 같다.
「이집트」의 「사다트」 대통령특사가 「워싱턴」에 가고 「요르단」과 「이집트」가 이미 이 합의사항에 동의했다는 보도까지 나오고 있다.

<총괄해결의 방식 촉진>
만약 이것이 사실이라면 중동분쟁의 근본적인 요인을 일괄해서 해결하려는 「총괄 해결방식」은 전쟁 때문에 오히려 촉진된 셈이다. 4개의 합의사항 가운데 가장 주목을 끈 것은「가자」지구, 「요르단」강 서안 및 「예루살렘」의 「아랍」지역으로 「팔레스타인」국가를 창설한다는 안이다.
중동분쟁의 근본적인 불씨는 3백만 「팔레스타인」 난민 처리문제였다. 따라서 「팔레스타인」국 창설은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미·소의 궁여지책이라고도 할 수 있다.
「팔레스타인」난민처리 문제에 대해서는 그동안 여러 가지 방안이 시도되었으나 모두 실패로 끝났었다.

<사다트·후세인 안 실패>
72년초 「사다트」 대통령은 「팔레스타인」망명정부를 세울 것을 제의했으나 「팔레스타인·게릴라」조직은 이를 일축한바 있었고 같은 해 3월 「후세인」 「요르단」왕이 「이스라엘」군 철수를 전제로 「요르단」강 서안을 「팔레스타인」자치구로 만들어 「요르단」에 합병한다는 『「아랍」연합왕국』구상을 내놨다가 「아랍」진영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또 73년 초에는 「하비브·부르기바」 「튀니지」 대통령이 「후세인」왕이 사퇴하고 「요르단」왕국을 「팔레스타인」국으로 만들자고 제의하기도 했다.
결국 「사다트」의 「팔레스타인」망명경부 제안이나 「후세인」의 「아랍」연합왕국 구상은 「팔레스타인」 난민을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팔레스타인·게릴라」의 「테러」활동으로 빚어지는 국내정치의 위기를 벗어나기 위한 「내수용」의 인상이 짙어 「팔레스타인·게릴라」조직의 반발만 북돋우고 말았다.
현재 「팔레스타인」 난민은 약3백만으로 추정, 절반은 「아랍」제국에 흩어져 살고 나머지 절반인 1백30만명 정도가 「이스라엘」점령지에 살고 있다.

<비참한 생활의 난민들>
이중 「이스라엘」국내 및 「예루살렘」지역에 약 사만 명, 「요르단」강 서안에 62만명, 「가자」지구에 36만명이 살고 있는데, 「이스라엘」은 이들 점령지 거주 「팔레스타인」 난민들을 「이스라엘」화한다는 정책 밑에 그동안 동화작업을 벌여 온 것으로 알려졌다.
「이스라엘」로서는 영토의 확장이라는 목적과 점령지의 현상 안정이라는 방침에 따라 이들 난민들의 정착을 계획해 왔으나 「가자」지구 및 「요르단」강 서안에 있는 「팔레스타인」인 99만명 가운데 「이스라엘」정책에 따라 정착한 사람은 69만이고, 나머지 약30만명은 난민으로서 비참한 생활을 하고 있다.

<실현돼도 분쟁 못 없애>
어쨌든 미·소에 의한 현상고정 정책으로 「팔레스타인」 난민처리가 교착상태에 빠지자 극도로 초조해진 「팔레스타인·게릴라」가 미·소가 합의한 것으로 알려진 「팔레스타인」국 창설 안에 어떻게 대응할지는 아직 의문이다.
이들은 이번 중동전 휴전도 아직 인정하지 않는 정도이므로 계속 투쟁을 선언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게다가 「가자」지구나 「요르단」강 서안 등이 「이스라엘」의 남부와 동부의 귀퉁이가 되어 「팔레스타인」국가를 세운다 해도 국경선 문제가 지극히 애매하게 된다.
따라서 미·소가 설사 이 복안을 덮어씌워서 실현시킨다 하더라도 분쟁의 불씨가 완전히 소멸되지는 않을 것 같다. <김정식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