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산업에 2조 투자 … 2020년 세계 빅4 진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정부가 2020년까지 소재부품 산업에서 수출 6500억 달러, 무역흑자 2500억 달러를 달성해 일본을 추월, 세계 4대 강국으로 진입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제3차 소재부품 발전 기본계획(2013~2016)’을 발표했다. 소재부품 산업은 대일(對日) 무역역조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돼 왔다.

 이에 따르면 정부는 세계 수준의 10대 핵심소재(WPM) 개발을 위해 2016년까지 민간 1조7000억원, 정부 3000억원 등 총 2조원을 투자한다. WPM은 수송기기용 초경량 소재, 친환경 스마트 표면처리 강판과 같은 미래형 신소재들이다.

 정부는 특히 대일 무역적자 가운데 40%를 차지하는 화학소재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여수 산업단지와 연계한 화학소재 클러스터를 조성키로 했다. 기술력이 우수한 중소 벤처기업에는 200억원 규모의 ‘소재 전용 펀드’를 조성해 안정적인 투자가 이뤄지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 중소·중견기업의 해외 인수합병(M&A) 활성화를 위해 20개국 78개 M&A 자문사의 협조를 얻어 ‘온라인 M&A정보중개소’를 구축할 방침이다. 외국 투자기관이 국내 소재부품 분야에 활발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부품소재특별법을 개정해 외국 투자회사의 ‘부품소재전문투자조합’ 설립을 유도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산업부는 이런 정책을 연계 추진해 지난해 2770개이던 소재부품 분야 중소·중견기업을 2020년까지 6000개로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기찬 선임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