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유해 장난감|그 실태와 대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고무 풍선이 목에 걸려 어린 목숨을 빼앗겼고 열쇠까지 갖춘 장난감 수갑이 어린 마음을 사납게 만들 때마다 사회와 가정에선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지만 막상 『어떻게 할 것인가』에 부딪치면 그 엄청난 난관에 주춤할 뿐이다. 그래서 「사고」들은 잇달아 일어나고 사후 약방문마저 마련하지 못한 채 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건강하고 건전한 미래의 일꾼을 위해 안전하고 유익한 장난감을 만들어 줄 수는 없을까. 가정과 사회에 가로 놓여있는 어려운 현실과 각 분야대로의 과제를 알아본다.

<가정>
여태까지 장난감은 부모들이 아이를 봐주기 귀찮아서, 어린이에게 시간 뺏기는 것을 줄이기 위한 도구 정도로 잘못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장난감은 어린이의 지능과 정서 개발의 소재로 어린이들의 꿈을 실현해 주는 길잡이가 돼야한다.
부모들은 신문에 난 장난감 사고에 대해선 민감해도 자기 자녀들에게 직접 장난감을 골라주는데는 인색할 때가 많다.
값비싸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니다. 「경제적 여유」를 핑계 삼는 일은 없어야겠다.
부모가 직접 살펴보고 자녀들에게 위험한가 또는 교육적으로 도움이 되는가를 시험해 보고 사 주는 성의를 가져야겠다. 「불량품」은 제조자에게만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다. 사용자에게도 잘못이 있는 것이다.
지금의 불량품 사태 속에서는 부모들이 직접 자녀를 위해 장난감을 만들어 주는 것도 좋겠다. 위험한 것들은 대개 구멍가게를 통한 영세 상인들 것이라고 한다.
이웃과 공동으로 구멍가게에 그런 불량품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생각해봄 직한 대책이다.

<당국>
특별히 불량 장난감만을 위한 규제법이 없다. 단지 부문별로 식품 위생 단속법·화약 총기 단속법·소년 복지법 등에 나누어 적용할 뿐이다. 장난감 제조업자는 보건소를 통해 허가 (식품 위생법 관계)를 받아야하는데 현재론 겨우 30여개 업자만이 허가를 받고 있다.
보사부 당국선 불량 장난감의 실태도 파악하지 못하고 전국을 통한 단속 실적도 미미하다. 보사부 아동과에선 아동 복리 위원회를 통해 장난감을 다루는 자문기관을 설치할 계획이다.
영세업자 문제 해결을 위해 상공부 산하 중소기업 협동조합에선 이들 업자들을 모아 종합 공장을 건설하고, 22만 「달러」차관을 알선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렇게 되면 영세업자들은 「아이디어」만 주고 제품은 종합 공장에서 하기 때문에 안전성을 보장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제조업계>
현재 완구 공업 협동조합에 가입된 업자는 2백여명. 1천 2백여 종을 만들어 내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우리 나라 장난감들은 거의「수준 이하」라고 말하지만 요즘 수출품을 비롯, 「쓸만한 것」이 많아졌다는 의견들도 있다.
거의 무법지대라 할만큼 법의 규제를 무시한 제작으로 조잡품이 많아 비난을 받았던 협동조합 가입 업자들은 영세업자에 그 책임을 돌린다. 사실 영세업자의 문제는 제일 해결 할 수 없는 난관으로 꼽힌다.
2, 3명이 집안에서 마구 만들어내는 이 장난감들은 당국서도 단속에 골치를 앓고 있다. 도매상을 통하지 않고 직접 학교 앞이나 동네 구멍가게를 통해 뿌리기 때문에 출처부터 알아낼 수 없다고 한다.
거의가 「유해」라고 알려진 시중의 장난감이 「장난감 심사 위원회」의 심사 (3월 17일 현재 5백종 심사)에서 5%만이 「불량」으로 밝혀졌다.
이것은 시중의 장난감 거의가 영세업자의 상품이고 심사 대상은 완구 공업 협동조합에 등록된 업자 만이었기 때문이다.

<장난감 심사위원회>=69년 11월에 조직 됐으나 (회장 문제안) 실무에 들어가기는 올 3월부터. 보사부 식품 위생 담당자와 기계·색소 공학·아동 심리·응용 미술 전문가와 치안국 보안과 등 광범위한 계층으로 구성, 회원은 15명이다.
3월 5일부터 전국의 1천 2백여 종 장난감을 모아 현재까지 불량품 26종을 다시 만들도록 재심 요청했다.[윤호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