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대학생 장학대책의 확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긴 겨울 방학이 지나고 새봄을 맞아 대학은 개학하여 활기를 띠게 되었다. 새 학기의 시작에 희망에 부풀어 있어야 할 대학생들이 등록금 인상, 하숙비 인상, 장학금 혜택 감소 등으로 우울한 심정에 젖어있고, 그 흔하던 부직조차 구할 수 없어 인생의 비애가 대학사회를 어둡게 하고 있는 듯 하다.
새 학기만 되면 흔히 대학생들이 욕구불만에 빠지고 그것이 겹쳐 4, 5월이면 「데모」등 사태가 번져 대학가가 소란해지는 원인도 등록기의 학생들의 우울증 때문이 아닌가 분석되기도 했다. 그런데 올해 대학생들의 등록률은 예년에 볼 수 없는 저조상태라는 보도는 범상한 일이 아니다.
지난 4일 마감한 고대는 2학년 이상 재학생 4천 4백 7명 중 등록을 끝낸 학생은 1천 60명으로, 불과 24·3%의 저조한 등록률을 보였고, 연대도 재학생 4천 2백 33명중 2천 7백 51명이 등록하여 65%밖에 등록하지 않았고, 이화여대도 재학생 5천 5백명 중 4천 2백 30명이 등록하지 않았다. 그 이외의 사립대학의 등록률은 훨씬 저조할 것에 틀림 없으며 대부분의 대학이 지금까지 추가등록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각 대학의 등록률이 이처럼 저조한 이유는 첫째로는 금년 들어 공납금이 뛰어 올랐고, 둘째로는 장학금혜택의 대상자 수가 훨씬 줄어든 데 있는 것 같다. 금년의 기현상으로는 서울의 각 대학의 응시율이 극히 낮았고 일부 대학은 정원 미달현상까지도 나타내고 있었는바 이는 등록금 인상과 학부형의 생활고가 빚어낸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유능한 지방학생들이 쌀 20가마를 팔아 10만 2천원을 만들어 등록금을 내고, 1개월 하숙비를 내고 책값을 내면 남는 잡비는 4천원 밖에 안된다는 신문보도를 볼 때 앞으로 농민의 자제는 아무리 우수하더라도 대학공부는 하지 못하게될 날이 오지 않을까 우려된다.
우리나라의 부농이라도 최대한의 경작면적인 3정보에서 얻는 순수익은 30만원정도 밖에 안되는 바 생활비를 제한 15만원 정도로써는 자녀 한명의 1년 대학등록금 밖에 되지 않는다는 계산이 나오게 되고 하숙비와 잡비는 학생이 자담하여야 한다는 말밖에 되지 않는다. 수많은 자녀를 거느리고 있는 영세농민이나 일반 회사원·공무원들도 자녀들의 대학진학은 장학금의 혜택없이는 거의 불가능한 형편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부모들이 전 재산을 바쳐서 입학시켜 놓은 학생들도 「아르바이트」 구하러 뛰어다니다 보면 성적이 나빠 낙제하게 될 것이요, 부업조차 없는 경우에는 자포자기하게 될 것은 명약관화하다.
정부는 학부형의 교육비를 덜어주고 학생들의 욕구불만을 해소해 주고 우수한 학생들을 양성하는 의미에서도 장학금 혜택을 대폭 늘려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정부의 고식적인 학생활동 규제 방안보다는 학생들이 마음놓고 공부할 수 있도록 장학금 혜택을 대폭 늘려주는 것이 대학가의 동요를 막는 첫 과제임은 다른나라에서의 실례가 웅변하고 있는 것이다.
정부는 그 동안 대여 장학금의 액수를 늘리고 대상자 수를 늘린바있으나 이번 기회에 획기적인 장학제도를 마련하여 우수한 학생이 빈곤 때문에 대학을 졸업하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해주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이를 위해서 미국의 각종 장학제도를 모방하여야 할 것이고, 독일의 「호네파 모델」등 제도도 모방 도입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정부는 사립대학의 공납금을 인상해주는 경우 국립대학 학생들의 등록금은 전액 면제해주어 빈곤한 학생이 국립대학에 진학하는 길을 마련하는 것 같은 방안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유지들도 현재의 장학사업을 보다 확충해주기를 바라며 유능한 인재의 양성이야말로 부흥 한국의 기틀이 된다는 점을 인식하여 경제인들도 장학사업에 인색해서는 안될 것이다. 정부와 사회의 협동으로 등록금과 하숙비 때문에 학업을 마칠 수 없는 사람이 생기지 않도록 깊은 배려를 해주기를 당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