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디딤돌로 우주 도약 … 각국 신기술 시험 경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달은 1960~70년대 미국과 소련(현재 러시아) 두 강대국의 각축장이었다. 소련이 1959년 무인 탐사선을 달에 착륙시키자 미국은 69년 유인 탐사선을 보내 전세를 역전시켰다. 과학적 목적보다는 국가적 자존심 싸움의 색채가 짙었다. 이 때문에 냉전 붕괴 후 미국의 독주가 이어지면서 달 탐사 열기는 시들해졌다.

 하지만 2000년대 들며 상황이 달라졌다. 일본·중국·인도 등 신흥 우주강국들이 잇따라 달 궤도 탐사선을 쏘아 올렸다. 일본의 셀레네1호와 중국의 창어1호가 2007년, 인도의 찬드라얀1호가 2008년 발사됐다. 이어 중국(창어3호)은 올 하반기에, 인도(찬드라얀2호)와 일본(셀레네2호)은 각각 2016년과 2018년에 무인 달 착륙선을 보낼 계획이다. 중국과 일본은 2025년 이후 유인 달 탐사에도 도전한다.

 러시아도 지난해 달 탐사 재개를 선언했다. 2015년과 2017년 무인 착륙선(Luna-Glob1·2호)에 이어 2020, 2021년엔 달 샘플을 갖고 돌아오는 귀환선(Luna-grunt1·2호)을 보낼 계획이다. 2030년에는 유인 탐사에 나선다.

 이렇게 달이 다시 각광을 받게 된 데는 “인공위성 개발 등 우주경쟁이 치열해지면서 각국의 기술력을 겨루는 새로운 시험무대가 됐다”는 해석이 많다. 달이 ‘심(深)우주’로 가는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시험장(테스트베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 고서곤 우주정책과장은 “중국이 지난 11일 다섯 번째 유인 우주선 선저우(神舟)10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국가 이미지가 크게 올라갔다. 그로 인한 경제적 파급효과가 엄청나다. 달 탐사도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달 탐사 일정을 5년 앞당기려는 것에 대해 “각국의 탐사 계획이 2020년 전후에 집중돼 있다. 우리도 지금 나서지 않으면 뒤처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달 탐사 계획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다. “자체 발사체 개발도 안 끝난 마당에 달 탐사 일정까지 앞당기겠다는 것은 무리”라는 것이다. 우주정책 전문가인 김경민 한양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과학기술의 진보를 위해선 달 탐사와 같은 큰 비전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직 그 필요성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가 덜 형성돼 있다. 그 간극을 좁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한별 기자

관련기사

▶ 2020년 한국 발사체로 달 간다
▶ 지구서 한국형 로버 조종…달 탐사 시나리오 보니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