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문교육 정상화요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이희승 이숭녕씨등 교수, 문인, 법조인, 언론인등 1백40여명은 29일 『우리어문의 정상적인 발전을 기하고 민족문화의 올바른 계승을 위해 현재 등한시되고있는 한자및 한문교육을 강화실시할것』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냈다. 이 성명서는 ①상용한자를 2천자로 할것 ②초·중·고등학교 교육에서 상용한자를 모두 습득할수 있도록 교과서를 개편할것 ③고등학교 한문과목의 비중을 높일것 ④중·고교 국어교사와 한문교사의 질을 높일것 ⑤대학입시 국어시험에 한자및 한문과목을 넣을것 ⑥대학의 교양과목으로 한문을 넣을것 ⑦한문 인재양성을 위해 대학에 한문학과를 둘것 ⑧역사적인 인명, 지명, 고적, 명승의 고유명칭은 원형대로 보존할것등을 주장하고 한글전용의 인위적인 강요를 반대했다.
이들은 과거20년간 실시해온 「한자폐지·한글전용」지향의 어문교육때문에 ①학생들은 한자어의 이해부족으로 독서를 제대로 못하고 ②한자어 지식의 부족으로 이해력의 박약, 개념파악의 부정확, 학술표현의 부족등 현상을 빚어 대학교육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으며 ③한자 한문의 경멸심리를 조장하여 조국및 동양문화에 그릇된 관념을 갖게하며 ④국학및 동양학의 쇠퇴를 초래하고 ⑤한자문화권에서 고립되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발기인은 다음과 같다.
▲이희승 (성균관대대학원장) ▲이숭녕 (서울대문리대교수) ▲장용학(작가) ▲김상기 (서울대명예교수) ▲이가원 (연세대교수) ▲이상은 (고대교수) ▲유봉영 (조선일보부사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