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구·전북은행 M&A '삼국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지방은행 체제에 11년 만에 변화가 생기게 됐다. 정부가 우리금융 계열사 중 경남·광주은행을 가장 먼저 매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매각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경우 경남·광주은행은 정부 소유에서 민간 소유로 바뀌게 된다.

 국내에서 지방은행이 태동한 건 정부가 지방금융 활성화를 위해 ‘1도 1은행’ 정책을 천명한 1967년이다. 그해 10월 대구은행을 시작으로 71년까지 경기·강원·충청·충북·경남·부산·전북·광주·제주은행이 설립됐다. 이후 97년 외환위기 전까지 지역금융의 터줏대감 역할을 했다. 이병윤 금융연구원 부원장은 “지방은행들은 지역 중소기업과 개인고객을 상대로 한 밀착 마케팅을 통해 안정된 수익성과 건전성을 유지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외환위기의 충격으로 10개 지방은행 시대가 막을 내렸다. 98년 충청은행이 하나은행에, 경기은행이 한미은행(현 씨티은행)에 합병됐다. 1년 뒤에는 충북·강원은행이 조흥은행(현 신한은행)에 합병되면서 지방은행은 6개만 남게 됐다. 2001년에는 경영이 어려워진 경남·광주·제주은행에 공적자금이 투입됐다. 결국 경남·광주은행은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금융지주 계열사로 편입됐고, 제주은행은 2002년 신한금융에 매각됐다.

 현재 독립적인 지배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지방은행은 부산·대구·전북은행 3곳뿐이다. 금융권에서는 우리금융 산하의 경남·광주은행이 인수합병(M&A) 시장에 매물로 나올 경우 이들 3개 은행이 가장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한다. 이들이 최근 들어 금융지주사 체제 전환을 통해 몸집 키우기를 시도하고 있어서다. 부산·대구은행은 2011년 각각 BS금융지주(부산)와 DGB금융지주(대구)를 설립했고, 전북은행이 다음 달 JB금융지주를 출범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들끼리 합쳐지면 영업력이 커지기 때문에 지방뿐 아니라 서울에서도 시중은행과 경쟁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태경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