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자영업자·실업자 많은 한국엔 스웨덴 모델이 제격”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326호 07면

라르스 다니엘손

라르스 다니엘손(60) 주한 스웨덴 대사는 “독일은 노동자들에게는 매우 좋은 체계지만 실업자나 자영업자가 많은 나라엔 좋은 체계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한국에는 (경제활동인구 중) 35%의 자영업자와 실업자가 있다. 이들을 포괄하는 복지시스템을 만들려면 스웨덴 모델을 참고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자국 복지 모델 홍보 나선 라르스 다니엘손 대사

 그는 한국 국회의원들이 스웨덴을 비롯한 유럽 복지모델에 관심을 갖는 데 고무돼 있었다. 하지만 “한국은 세금 체계가 달라 아직 스웨덴 모델을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스웨덴 복지시스템을 섣불리 도입할 때는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선거에서 보편적 복지를 내세워 당선되긴 쉽겠지만 사람들이 비용을 낼 준비가 돼 있어야만 가능하다”며 포퓰리즘을 꼬집기도 했다.

 -스웨덴 복지모델은 세율이 높다는데.
 “복지의 전제조건은 세금이다. 우리의 시스템은 공짜가 아니다. 보통 소득의 30~45%를 소득세로 낸다. 나도 내 소득의 42%를 낸다. 소비세도 물건 값의 25%여서 높은 편이다. 그러나 아이들 옷이나 음식·책 등 꼭 필요한 물건엔 6%만 붙는다. 한국은 아직 세금을 많이 낼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시스템의 혜택 못지않게 비용을 함께 봐야 한다.”

 -독일과 세금 체계를 비교하면.
 “세율은 거의 비슷하다. 그러나 스웨덴은 개인에게 세금을 부과한다. 나와 내 아내가 세금을 따로 낸다. 스웨덴의 남녀 고용률이 각각 80%에 달하는 건 이런 체계 덕분이다. 여성 고용률이 낮은 한국에서 참고할 부분이다. 반면에 독일은 가족 기반 세금 체계다. 이로 인해 여성이나 노인은 일하지 않는 경향이 생긴다. 또 스웨덴은 세금 체계가 단순하다. 부유세나 증여세·상속세가 없다. 이런 세금들은 걷기가 매우 어려워 폐지했다. 그 덕에 세금을 걷는 비율이 98.5%에 달할 만큼 높다. 한국을 포함한 대부분 국가에선 70%쯤 된다. 박근혜 대통령이 ‘증세 없는 복지’를 주장한 건 세정 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돼야 한다는 뜻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는 장기적으로 가능하지 않다.”

 -한국 의원들에게 스웨덴 모델을 강연하며 뭘 느꼈나.
 “스웨덴 젊은이들이 계속 그렇게 높은 세율의 세금을 내려 하겠느냐는 질문이 인상적이었다. 이건 우리 복지시스템의 핵심적 부분이다. 바로 납세자들의 의지다. 세금을 걷는 과정이 공정하고 세금이 꼭 쓰여야 할 곳에 효율적으로 쓰여질 때만 젊은이들이 계속 세금을 낼 것이다. 중요한 건 이런 사회적 신뢰다.”

 -스웨덴에서 실현된 다양한 정당 간 연정이 국민의 정치 신뢰를 높인 배경이라고 들었다.
 “그렇다. 스웨덴에서 선거는 시스템을 바꾸는 게 아니라 어느 당이 시스템을 더 잘 운영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것이다. 한국과 비교하자면 스웨덴의 정치세력들은 정면 대결하는 경우가 거의 없다. 국민 가운데 85%는 현재 시스템을 좋아하고 15% 정도가 바꾸고 싶어한다. 결국 선거 승리 세력은 현재 시스템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