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3명 “내 집 꼭 마련할 필요 없어”

조인스랜드

입력

[조인스랜드 취재팀기자] 과거엔 '내 집 마련'이 인생의 가장 큰 목표였지만 요즘 젊은 세대는 그렇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토교통부가 전국의 3만3000가구를 대상으로 '2012년 주거실태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72.8%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같이 응답한 비율은 지난 2010년(83.7%)과 비교하면 10.9%포인트나 감소했다.

특히 연령이 낮을수록 내집 마련에 대해 크게 중요시하지 않았다. 55세 이상은 77.9%가 내 집을 꼭 마련해야 한다고 응답한 반면 45~54세 69.1%, 35~44세 67.7%, 34세 이하는 이 비율이 61.1%에 그쳤다.

국토부 관계자는 "나이가 많을 수록 집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도 높게 나타나는 등 연령에 따라 주거의식과 가치관도 크게 차이가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자가점유율 고소득층 위주로 감소

자기 소유 주택에 거주하는 자가점유율은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감소했다. 주택시장 침체로 집을 살 능력이 있는 계층을 중심으로 매매수요가 전세수요로 전환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고소득층 자가점유율(64.6%)은 4.9%포인트 감소해 전체 평균(54.3%→53.8%)보다 하락폭이 컸다. 반면 저소득층은 50.4%로 3.5%포인트 증가했다.

연소득 대비 주택가격 구입배수(PIR)는 지방의 집값 상승 영향으로 2010년 4.3에서 5.1로 상승했다. 다만 집값 하락폭이 큰 수도권은 같은 기간 6.9에서 6.7로 낮아졌다. 월소득 대비 월임대료 비율인 RIR은 저소득계층의 경우 28.2에서 21.8로 낮아졌지만 중·고소득층은 19.2에서 19.8로 증가했다.

혼인 등의 이유로 최초로 집을 마련하는데 걸리는 기간은 전국 평균 8년으로 조사돼 2년 전보다 0.5년 줄었다. 이들 중 67%는 아파트를 생애최초로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c)중앙일보조인스랜드. 무단전제-재배포금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