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경제 용어] 어닝시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0면

요즘 국내 주식시장은 ‘어닝 시즌(earning season)’에 접어들었습니다. 어닝 시즌이란 상장 기업들이 분기나 연도별 매출·영업이익·순이익 같은 경영 실적을 발표하는 시기를 말합니다. 국내에서는 보통 분기 또는 연도가 끝난 뒤 3주일쯤 지나서 시작해 2~3주 동안 계속됩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에 상장한 1900여 개사가 순차적으로 실적을 쏟아내듯 발표하는 거지요. 바로 지금, 국내에서는 올 1분기 어닝 시즌이 시작됐습니다.

 실적 발표는 왜 분기가 끝난 뒤 바로 하지 않고 3주 이상 지나서 하는 걸까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하나는 각종 거래를 비롯한 기업 활동을 최종적으로 집계하려면 며칠이 더 걸리기 때문입니다. 그 다음엔 검증 작업이 필요합니다. 빠뜨린 것은 없는지, 계산이 맞는지 다시 확인을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고 ‘이번 분기에 순이익 100억원을 냈다’고 발표했다가 오류가 발견돼 나중에 ‘150억원으로 정정한다’고 하면 투자자들이 큰 혼란을 겪겠지요.

 어닝 시즌에는 투자자들이 기업의 실적 발표에 이목을 집중합니다. 실적에 대한 예상과 실제 발표가 맞아떨어지는지 확인하는 게 주된 목적입니다. 평소 기업의 주가는 ‘앞으로 이익을 이만큼 낼 것이다’라는 예상에 따라 움직입니다. ‘A기업의 1분기 순이익이 100억원쯤 될 것 같다. 그러면 적절한 주가는 1만5000원이다’라고들 생각하는 겁니다. 이런 실적 예상은 전문가들이 분석, 추정해서는 투자자들에게 알립니다.

 그러나 예상은 어디까지나 예상입니다. 실제 발표와 다를 수 있습니다. 순이익이 100억원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는데 막상 뚜껑을 열고 보면 150억원이 될 수도 있고 50억원밖에 안 될 수도 있습니다. 이익이 예상보다 훨씬 많은 경우를 ‘어닝 서프라이즈(earning surprise)’, 반대를 ‘어닝 쇼크(earning shock)’라고 합니다. 어닝 서프라이즈 면 기업 주가가 뛰고, 어닝 쇼크 때 미끄러진다는 것은 당연한 일이겠지요.

권혁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