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업논란 진주의료원 정상화 되려나?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진주의료원 정상화를 위해 단식농성을 벌인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은 7일간의 단식농성을 마무리하고 국회로 복귀했다.

10일 민주통합당 김용익 의원을 비롯해 오제세, 이목희, 김성주 의원 등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청와대를 방문해 진주의료원 사태 해결을 촉구했다.

이들은 "진주의료원 사태 해결을 위해 청와대가 적극 나서주기를 바란다"며 “진주의료원과 같은 지방의료원이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차원에서도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이에 청와대 이정현 정무수석은 "최악의 상황으로 가서는 안 될 것”이라며“진영 장관이 경상남도에 다녀온 후에 이야기를 듣고 전달할 것이 있으면 전달하겠다”고 밝혔다.


더불어 진주의료원 사태의 조정에 있어서 미흡한 부분이 있었음을 인정하고, 노력 의사를 전했다.

청와대 방문 이후 김용익 의원은 7일간 이어진 단식농성을 마무리하겠다고 선언했다.

김 의원은 "단식농성을 시작했던 이유는 공공의료의 본질을 깨닫지 못하고 단지 적자라는 이유로 하루아침에 의약품 공급을 끊고 환자들을 거리로 내모는 비인간적이고 무자비한 홍준표 도지사에 대한 분노"였다고 말문을 열었다.

덕분에 진주의료원 폐업 사태가 단순히 ‘진주’라는 지역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적 문제라는 인식이 확산됐고, 공공의료의 정상화에 대한 고민으로까지 확대되는 성과가 있었다는 것.

또한 보건복지부 진영 장관도 진주의료원을 방문한 자리에서 의료원의 정상화 의지를 전하며 홍준표 도지사를 만나겠다고 밝혀 해결의 실마리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김 의원은 "아직 폐업결정이 바뀌지는 않았다"며 "12일에는 진주의료원 폐업 조례가 해당 상임위(문화복지위원회)에 상정될 예정이고, 18일에는 도의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반면 같은 12일, 진주의료원 폐업을 막을「지방의료원의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여야 합의로 보건복지위원회에 상정된다. 지방의료원에 대해 지방자치단체가 일방적으로 횡포를 부리지 못하도록 설립과 폐업시 보건복지부 장관의 협의와 승인을 거치도록 하는 내용이다.

이에 김 의원은 "지방의료원법 개정 등 실질적으로 진주의료원 폐업을 막을 수 있는 제도 개선에 최선을 다할 생각"이라며 "필요하면 언제라도 다시 단식을 시작하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연예인 수술 허위광고 의사 면허정지 정당 [2013/04/10] 
·공정위 "셀트리온홀딩스 빚으로 계열사 확장"제재 [2013/04/10] 
·정종현 군 어머니가 다시금 밝히는 3년 전 아들의 죽음 [2013/04/10] 
·인의협, 폐업논란 진주의료원에 의사 보낸다 [2013/04/10] 
·캠핑하다 독사에 물리면 독사 사진을 꼭 찍어라? [2013/04/10]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