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외교부 한반도 특별 부대표 방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쉬부 부대표(左), 한바오장 소장(右)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중거리 미사일 발사 도발이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온 가운데, 중국 정부가 외교부와 중국공산당 중앙 당교(黨校) 대표단을 9일 서울에 파견했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중국 외교부에서 남북 문제를 다루는 쉬부(徐步) 외교부 한반도 사무 특별 부대표가 방한했다”고 전했다. 또 중국공산당 중앙 당교에서 전략문제를 다루는 국제전략연구소 한바오장(韓保江) 소장도 10여 명의 대표단과 함께 방한했다고 덧붙였다.

 쉬 부대표는 중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인 우다웨이(武大偉) 한반도 사무 특별대표와 더불어 북핵문제 등 한반도 이슈를 직접 다루는 중국의 핵심 외교관이다. 정부는 쉬 부대표의 방한 사실은 확인했지만 구체적 일정은 공개하지 않았다. 쉬 부대표는 3일가량 서울에 체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기간 동안 쉬 부대표는 임성남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차관급), 이도훈 북핵외교기획단장 등을 비롯해 외교부 당국자들과 만나 북핵 등 한반도 전략문제를 논의할 것이란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김장수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르면 10일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힐 정도로 민감한 시점에 중국에서 대표단이 방한한 것이어서 북한을 둘러싼 한·중 간 대화 내용이 주목된다. 이와 별도로 쉬 부대표는 10일부터 이틀간 외교부 산하 국립외교원에서 비공개로 열리는 전략대화에도 참석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번 전략대화는 국립외교원 외교안보연구소(중국연구센터)와 중국 중앙 당교 국제전략연구소가 공동으로 주최하는 첫 전략대화다.

 당교 국제전략연구소는 공산당 고위 간부를 양성하는 중앙 당교 산하 조직으로 국제관계와 대외전략을 연구해 공산당과 중앙정부(국무원)에 주요 정책을 건의해왔다. 그 때문에 이번 전략대화에서 한·중 관계뿐 아니라 북한의 4차 핵실험, 중거리 미사일 발사 가능성, 북한 급변사태 대응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이번 전략대화에서 동북아 정세, 북한문제를 포함한 한·중 정책 현안들에 대해 의견을 나누고 이를 바탕으로 양국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미래 협력 방안도 모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장세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