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사려면 신규 분양, 임대사업엔 소형주택이 유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주택 수요자들이 손꼽아 기다려 온 새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말 그대로 ‘전방위대책’이다. 실수요자가 중심이지만 투자자도 주택 임대사업을 하기 좋은 여건이 마련됐다는 평이다. 우리은행 부동산연구실 홍석민(사진) 실장은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가 늘어날 것은 분명하다”며 “자금 여력이 있다면 소형 아파트로 임대사업을 해 볼 만하다”고 전했다.

 -기존 주택보다 신규 주택에 대한 혜택이 많아 보인다. 신규 주택을 사는 것이 유리한가.

 “이번 대책만 보면 그렇다. 특히 미분양의 경우 중도금 무이자 등 금융 혜택을 내놓는 경우가 많아 가격 절감효과도 누릴 수 있다. 유주택자도 1순위로 청약을 받을 수 있게 되지 않나. 1순위 대상자라면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신규 분양단지에 관심 가져볼 만하다. 하지만 분양가 수준이 낮아지고 있다고 해도 기존 주택보다는 비싸기 때문에 단편적으로 비교하긴 어렵다. 기존 주택의 경우 집값 하락 폭이 큰 수도권 1기 신도시를 노려볼 만하다. 가격이 많이 떨어진 데다 리모델링 규제가 완화될 경우 수혜가 기대된다.”

 -대출과 관련해서는 별다른 변화가 없는데.

 “LTV에 대해서는 부분적인 언급이 있지만 DTI에 대해서는 아무런 내용이 없다. 관련 부서와의 조율이 되지 않은 것 같은데 대책이 진정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DTI에 대한 내용이 빨리 나와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한다.”

 -앞으로 주택시장은 어떻게 되는 건가.

 “이번에 움직일 주택 수요자는 전세에 살고 있는 저소득층이 중심이 될 것이다. 국민주택기금이나 생애최초에 해당되는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거래가 활성화할 것으로 본다. 대책은 이 정도면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집값을 움직이는 것은 경제여건인데, 아직까지 상승기류를 타기에는 이른 감이 있다. 그러나 집값이 더 떨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 실수요자 중심으로 거래는 늘어날 것인데, 가격은 대세보합이다. 하향세를 완만한 보합세로 만드는 수준은 될 것이다. 상승이 되려면 경기 자체가 살아나야 한다.”

 -주택 임대사업 하기는 어떤가.

 “이번 대책이 근본적으로 실수요자를 위한 내용이기는 하지만 주택 임대사업을 하기 좋은 여건이 갖춰졌다. 일단 취득·등록세 같은 부담이 줄었고 양도소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어 임대수익뿐 아니라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다. 오피스텔 등 수익형 부동산 수익률이 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소형 주택이 괜찮은 투자처가 될 수 있다. 서울의 경우 강남권은 당장 임대수익률이 높지 않아도 주택시장이 정상화되면 시세 차익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강북권은 임대수익률이 괜찮은 편이다.”

 -오피스텔보다 소형 주택이 임대사업에 낫나.

 “오피스텔은 준주택이다. ‘진짜 집’인 소형 주택과는 주거여건이 확연히 다르다. 주택의 역할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게다가 2015년까지 오피스텔 입주물량이 급증한다. 수익성이 낮아질 수밖에 없다. 오피스텔은 직주근접을 원하는 일부 수요를 위한 상품일 뿐이다. 임대를 놓을 때도, 매매를 할 때도 소형 주택이 유리하다.”

최현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