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론, 도시바공장 헐값매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도시바의 미국 도미니언 D램 공장을 헐값에 매입했다는 사실이 한국 하이닉스반도체와의 협상에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전망됐다.

19일 미국 아이다호주 지역신문에 따르면 마이크론은 최근 미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한 분기보고서에서 도시바의 D램공장 인수비용으로 현금 2억5천만달러와 150만주의 주식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이에 대해 마이크론이 도미니언 공장과 같은 규모의 설비를 직접 건설할 경우 5-10배 가량의 비용이 들 것이라며 놀라운 헐값 매입이라고 평가했다.

시장조사기관은 세미코리서치의 셰리 가버 애널리스트는 "2억5천만달러는 마이크론과 같은 대기업에는 그리 많지 않다"며 "새로 건설할 경우 30억달러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돼 이번 협상은 성공적"이라고 말했다.

니드햄증권의 댄 스코벨 애널리스트도 "이번 협상은 현제 17억달러를 보유하고 있는 마이크론의 자금사정에 큰 무리를 주지는 않을 것"이라며 "경쟁업체를 몰아내고 훌륭한 설비를 헐값에 매입했다는 점에서 큰 이득"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이크론측은 하이닉스와의 협상에 대해 `전략적 제휴나 또다른 거래"라고만 밝힌채 구체적인 협상진행 방향에 대해 언급하지 않고 있다. 마이크론의 한 간부는 "발표할만한 새로운 협상진전은 없다"며 "그러나 협상은 진행중"이라고 밝혔다.

애널리스트들은 한국언론들이 이번 협상과 관련, 도시바의 D램 인수대금 등과 비교하는 등 지나칠 정도로 상세하게 보도하고 있으나 이같은 보도는 `루머'수준일 뿐이라고 평가를 절하했다.

세미코 리서치의 가버 애널리스트는 "현재 협상진행 상황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며 "마이크론은 기본적으로 조용히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관련보도가 계속 나오고 있지만 이에 대해 회의적인 입장"이라고 말했다.

니드햄의 스코벨 애널리스트도 "최근의 보도를 보면 하이닉스측에서 협상을 재촉하는 듯한 모습을 볼 수 있다"며 "이번 협상은 오래 끌면 끌수록 마이크론에게 유리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가트너 데이터퀘스트의 리처드 고든 애널리스트는 "이번 협상타결은 하이닉스에 있어 유일한 생존방법이기 때문에 결국 성사될 것"이라며 "마이크론은 결국 하이닉스를 D램사업에서 퇴출시킬 것"이라고 말했다.(서울=연합뉴스) 이승관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