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채널정책에 대한 반발 거세져

중앙일보

입력

방송위원회가 발표한 방송채널 정책에 대한 반발이 가시화하고 있다.

지역 민영방송을 비롯해 iTV(경인방송) , 전국언론노동조합 등은 20일 일제히 반박성명 등을 내고 방송위의 정책결정이 지역 방송을 고사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iTV는 "iTV에 대해서만 전국방송을 할 수 없게 규제를 가한 이번 결정은 시청자의 볼권리와 채널선택권을 박탈하는 조치"라면서 금명간 방송권역 확대를 신청하는 한편 행정소송과 헌법소원을 제기하는 등 법적 대응에 들어갈 것임을 분명히했다.

iTV는 종합유선방송(SO) 을 통해 서울을 제외한 경기지역 전체로 송신할 수 있게됐으나 2년후 위성채널을 통해 전국에 방송할 수 있게 된 SBS와 달리 전국방송의 길이 막혀 경영에 큰 어려움을 겪게 됐다는 주장이다.

iTV의 황규환 회장과 표철수 전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iTV의 권역외 재송신승인조건을 서울을 제외한 경기지역으로 제한한 것은 지상파 독과점 방송사업자 가운데 하나인 SBS를 보호하겠다는 논리"라며 "거대사업자를 보호하고 후발 약소사업자의 생존권을 박탈하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또 지역민방과 지방MBC 등으로 구성된 지역방송협의회는 "방송위의 결정은 독점위성방송 사업자를 편들기 위한 편법적 특혜조치이자 지역방송 말살정책"라며 김정기 방송위원장과 강대인 부위원장 퇴진과 정책백지화를 위한 파업투쟁에 나서기로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도 별도성명에서 "방송위는 매체간 균형발전과 시청자 편의성이란 자의적 해석으로 지역방송을 죽이는 정책을 결정했다"며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김정기 위원장은 즉각 사퇴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위성방송이 MBC본사와 SBS를 수도권에서만 방송토록 한 2년이 경과하면 전국에 걸쳐 이들 지상파 방송을 송신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돼 지역방송의 생존이 위협받게 된다는 논리다.

내년3월 본방송을 시작한 뒤 2년후 MBC와 SBS를 전국에 송신할 수 있게 된 한국디지털위성방송은 "방송위 결정을 존중한다"고 전제한 뒤 "앞으로 위성방송사업의 조기정착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편, 한나라당 김원웅 의원 등 여야 의원 24명은 최근 위성방송이 KBS 등 지상파방송을 의무적으로 송신하도록 한 규정을 삭제하고 이를 방송위의 승인사항으로변경토록 하는 내용의 방송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서울=연합) 이명조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