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부실채권 … 내달까지 정리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금융감독원이 17일 국내 18개 은행을 대상으로 부실자산 정리를 위한 고강도 창구 지도에 나선다. 박근혜 당선인의 중소기업 살리기, 가계부채 감면 대책을 지원하기 위해 미리 현금을 쌓아두라는 취지다. 은행이 부실자산을 정리하면 이익이 줄어드는 반면 내부 유보금이 늘고 건전성 지표인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이 높아진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16일 “신용도가 낮은 부실채권은 다음 달까지 매각·상각해 현금화하도록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집중 점검 대상은 금감원이 은행별로 설정한 부실채권비율 상한선을 넘긴 우리·산업·농협·수협·광주 등 5개 은행이다. 지난해 9월 말 현재 부실채권비율은 농협(2.13%), 산업은행(2%), 수협(1.99%), 우리은행(1.87%), 광주은행(1.24%) 순으로 높다. 이들은 총 6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털어야 한다. 금감원은 이를 통해 은행권 평균 부실채권비율을 1.3% 수준으로 끌어내릴 계획이다.

 금감원은 이와 함께 은행들이 대출 채권의 신용도를 적절히 매겼는지도 따져볼 방침이다.

 은행들도 알아서 새 정부 코드에 맞추고 있다. 가계대출은 억제하고 중소기업 대출은 늘리는 방향이다. 국내 은행들이 16일 금감원에 제출한 올해 경영계획에 따르면 은행들은 올해 중소기업 신규 대출에 총 30조8000억원을 책정했다. 지난해 말 중소기업 대출 잔액(461조4000억원)을 6.7% 늘리는 것이다. 반면 올해 가계대출은 지난해 대출 잔액(465조원)보다 1.9% 늘리기로 했다. 지난해 증가율(3%)의 절반에 가까운 수준이다.

 한편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는 이날 금융연구원 초청 금융경영인 조찬강연회에서 “총액한도대출을 이용해 중소기업 등의 취약 부문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